2025.11.01 토요일
흐림 서울 11˚C
맑음 부산 14˚C
맑음 대구 15˚C
구름 인천 14˚C
맑음 광주 12˚C
맑음 대전 14˚C
맑음 울산 12˚C
맑음 강릉 12˚C
흐림 제주 17˚C
금융

韓·日에 이어 美 증시도 털썩…2년 만에 뉴욕 증시 최대 하락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광미 기자
2024-08-06 09:44:21

다우지수 2.60%, S&P 500지수 3%, 나스닥 3.4%↓

엔비디아·애플 급락…빅테크 중심 매도세 이어져

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증시 주요 3대 지수가 큰 폭으로 급락하며 마감한 가운데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 모습 사진AFP·연합뉴스
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증시 주요 3대 지수가 큰 폭으로 급락하며 마감했다. 사진은 이날 장 마감 당시 뉴욕증권거래소(NYSE) 모습. [사진=AFP·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전날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증시가 폭락한 가운데 미국 뉴욕 증시 주요 지수도 2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5일(현지시간) 미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60% 하락한 38703.2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날보다 3.00% 감소한 5186.3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3.43% 떨어진 16,200.08에 마감했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지난 2022년 9월 13일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지난 2일 발표된 7월 미 농업 일자리가 11만명 증가하고 실업률이 4.3% 상승하는 등 다소 부진한 고용지표로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특히 빅테크(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이어졌다. 이날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가 6.4%, 애플이 4.8% 하락했다. 애플의 경우 워런 버핏이 회장을 맡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애플 주식 절반을 매도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급락했다. 

시장 공포 심리의 간접적 지표인 '공포지수'도 코로나 펜데믹 이후 4년 만에 최대치를 보였다.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뉴욕증시 마감 당시 전 거래일 대비 15.18포인트 상승한 38.57이었는데 이는 지난 2020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벌 최고투자전략가는 "투자자들이 안정감을 갖고 있었던 것과 달리 시장은 사실 조정에 취약한 상태에 있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경제 및 고용 지표가 나오자 조정의 촉매제 역할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날 미국 경기 침체 우려로 일본의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는 전일 대비 12.4% 급락하며 지난 1987년 블랙먼데이(검은월요일)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코스피도 이날 전 거래일 대비 8.77% 떨어진 2441.55에, 코스닥은 전날보다 11.3% 급락한 691.28까지 떨어지며 마감했다. 이날 지난 2020년 3월 미국 증시 하락과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 이후 서킷브레이커가 발효된 후 4년 5개월 만에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에 동시 발동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카카오
신한금융지주
NH투자증
신한은행
한화
한화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삼성전자
한국투자증권
KB국민은행
롯데캐슬
스마일게이트
하나금융그룹
db
포스코
교촌
DB손해보험
삼성증권
삼성화재
NH
우리은행
SC제일은행
씨티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