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韓銀 CBDC 도입] ⓛ디지털 화폐 시대 초읽기…시중銀 플랫폼 선점 물밑경쟁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금융

​[韓銀 CBDC 도입] ⓛ디지털 화폐 시대 초읽기…시중銀 플랫폼 선점 물밑경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병근 기자
2021-03-16 06:00:00

한은 주도 시스템 설계 검토…연내 파일럿 테스트

은행별 블록체인 중개 대비…관계기업 투자 전망

전문가들 "美·中 변화 주목, 고객 대응전략 필요"

자료사진. [사진=픽사베이 제공]

한국은행이 디지털화폐(CBDC :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도입하기 위한 적극적인 검토에 나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대표적인 암호자산인 비트코인의 가격 폭등 현상을 경계한 한은이 CBDC 발행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국내 시중은행들도 플랫폼 선점을 위한 전략 수립에 내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14일 오전 5시13분 국내 암호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1비트코인이 전일 종가 대비 약 2% 상승한 7000만원에 거래됐다. 달러 기준으로는 사상 첫 6만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값이다.

앞서 한국은행은 올해 들어 더 급격한 오름세를 보이는 비트코인을 겨냥해 ‘이상 급등’이라고 일축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암호자산을 가리켜 “태생적으로 내재 가치가 없다”는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암호자산 열풍과는 별개로 한은은 지난해 2월부터 CBDC 전담 조직을 운영하며 디지털화폐 도입을 추진해 왔다. 디지털과 블록체인 기술을 앞세운 비(非)현금화 물결이 글로벌 대세로 굳어지자 통화당국 차원의 공식 대응에 나선 셈이다.

한은의 디지털화폐 도입 움직임은 글로벌 트렌드와도 부합한다. 테슬라와 트위터 등 굴지의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연이어 비트코인을 지지하고 나선데 이어, 미국 정부도 ‘디지털 달러’의 도입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한은 입장에서 CBDC 발행을 위한 자극제 역할을 한다는 해석이 따른다.

특히 미국과 화폐 패권을 놓고 다투는 중국 정부 역시 내년 2월 열릴 베이징 동계올림픽 이전에 ‘디지털 위안화’를 공식 도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전세계 66개 중앙은행 중 86%가 현재 각국별 CBDC 도입 여부를 검토 중이다.

CBDC가 민간 암호자산과 다른 점은 우선 중앙은행이 발행을 주도한다는 점이다. 때문에 CBDC는 현금과 동등한 위상을 갖게 된다. 법정 화폐 단위로 쓰여 교환 가치 면에서도 안정적이라는 분석이다. 한은은 CBDC 설계와 기술 검토가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지난 1년간 자금이체, 증권대금 동시결제 모의 테스트를 거친 한은은 조만간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하고, 올해 하반기 중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CBDC 안정성·작동방식 등을 시험할 계획이다. CBDC의 본격 도입 시기는 미정이지만 선진국의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겠다는 것이 한은 측 견해다.

본격적인 CBDC 시대 개막을 앞둔 가운데 국내 은행권이 한은과 보폭을 맞추며 치열한 플랫폼 선점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한은이 발행할 디지털화폐의 시중 유통과 국민들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는 민간 중개기관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가장 먼저 의지를 드러낸 곳은 KB국민은행으로 2019년 LG CNS와 블록체인 기반 전자화폐 ‘마곡 페이’를 운영한 전례가 있다.

마곡 페이는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소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사용됐다. 또 국민은행은 지난해 말 한국디지털에셋(KODA)에 투자하며 디지털자산 수탁 부문에도 관심을 보였다. 국민은행은 한은이 구상한 CBDC 발급과 충전 등 일련의 거래 과정에 투입되는 관련 기술, 노하우를 이미 보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한은 CBDC 중개기관을 전제한 신한은행의 가상 플랫폼 시나리오. [사진=신한은행 제공]

신한은행도 이달 LG CNS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화폐 플랫폼을 시범 구축했다. 한은의 중개기관을 염두에 두고 선제적인 플랫폼을 갖춘다는 목표다. 한은이 CBDC를 발행하면 신한은행이 중개해 개인 고객에게 지급하는 방식을 그렸다. 개인과 가맹점은 발행된 CBDC를 활용해 조회·결제·송금·환전·충전할 수 있다.

시스템은 ‘토큰형(거래별 데이터 관리)’ 방식으로 구축됐다. 신한은행은 CBDC의 발행 형태를 개인이 보유한 원화 잔액에서 환전된 일반자금과 특정 목적으로 정부·지자체가 교부하는 재난지원금으로 구분해 자금별 원장을 별도 관리한다고 밝혔다. 재난지원금의 경우 사용처를 한정하거나 사용 기한도 설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은행은 CBDC 유관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취지로 블록체인 관계 기업에 지분 투자를 검토 중이다. 2017년 당시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화폐 발행과 결제를 시범 운영한 우리은행은 향후 한은의 설계 결과에 주목한다. 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도 디지털 전담 부서에서 CBDC 유관 인프라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렇듯 업계에서는 중앙은행과 민간 부문이 함께 참여하는 CBDC 운영 전망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장혜원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CBDC 발행 형태 중 민간이 참여하는 혼합(하이브리드)형 도입 가능성이 높은 상황을 고려해 새로운 결제시스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며 “중국 등 주요 교역국들의 결제시스템 변화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금융
NH투자증권
우리은행
미래에셋
한국유나이티드
한화
여신금융협회
e편한세상
신한금융지주
종근당
SK하이닉스
LX
DB
하나금융그룹
KB증권
롯데캐슬
KB국민은행
kb금융그룹
신한은행
NH투자증
KB금융그룹
대한통운
DB손해보험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