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03 일요일
맑음
서울 26˚C
맑음
부산 27˚C
맑음
대구 28˚C
맑음
인천 26˚C
흐림
광주 26˚C
흐림
대전 26˚C
흐림
울산 27˚C
구름
강릉 26˚C
맑음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YG엔터테인먼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5
건
넘사벽 블랙핑크, K팝 새 역사 썼다…'뛰어'로 스포티파이·영국 차트 '점령'
[이코노믹데일리] 블랙핑크가 신곡 '뛰어(JUMP)'로 K팝 그룹 최초이자 최다 기록인 스포티파이 글로벌 주간 차트 1위를 달성하며 K팝 역사를 새로 썼다. YG엔터테인먼트는 17일(현지시간) 발표된 스포티파이 차트에서 블랙핑크의 신곡이 정상에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정규 2집 타이틀곡 'Shut Down'에 이은 두 번째 1위 기록이다. 스트리밍 수치도 압도적이다. '뛰어(JUMP)'는 발매 첫 주 4475만 회 이상 스트리밍되며 2025년 발표된 곡 중 가장 높은 데뷔 성적을 기록했다. 세계 최대 음원 플랫폼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며 막강한 글로벌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한 것이다. 블랙핑크의 위상은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도 확인됐다. 18일 발표된 오피셜 싱글 차트에서 '뛰어(JUMP)'는 18위에 오르며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로써 블랙핑크는 통산 아홉 번째 톱40 진입이라는 대기록도 세웠다. '유튜브 퀸'의 명성도 굳건하다. 신곡 뮤직비디오는 공개 직후 '24시간 내 가장 많이 본 동영상' 1위에 올랐으며 글로벌 유튜브 일간 인기 뮤직비디오 차트에서도 7일 연속 정상을 지키고 있다. 이 밖에도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61개국 아이튠즈 송 차트 1위를 석권하고 국내 주요 음원 차트에서도 최상위권을 유지하며 인기 롱런을 예고했다. 한편 블랙핑크는 현재 16개 도시 31회차에 달하는 월드투어 'BLACKPINK WORLD TOUR <DEADLINE>'을 진행하며 전 세계 팬들과 만나고 있다.
2025-07-20 11:39:08
악뮤 이찬혁, 솔로 정규 2집 '에로스(EROS)'로 컴백 예고
[이코노믹데일리] 악뮤(AKMU)의 이찬혁이 솔로 정규 2집 ‘에로스(EROS)’로 돌아온다.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는 4일 앨범의 콘셉트를 엿볼 수 있는 포스터를 공개하며 컴백을 공식화했다. 공개된 포스터는 빈 술병과 깨진 그릇으로 어지럽혀진 공간 속 이찬혁의 모습을 담았다. 주변 인물들은 초록색 실루엣으로 처리돼 몽환적이면서도 쓸쓸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대체 에로스는 어디로 가는 거야?’라는 의미심장한 문구 역시 앨범 전체를 관통할 주제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한다. 앨범에는 ‘시니 시니(SINNY SINNY)’를 시작으로 ‘돌아버렸어’, ‘빛나는 세상’ 등 총 9곡이 실렸다. 다만 타이틀곡은 아직 베일에 싸여 있어 궁금증을 더한다. 늘 고정관념을 깨는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선보여 온 이찬혁이기에 이번 컴백에 대한 팬들의 기대가 크다. 한편 이찬혁이 속한 악뮤는 오는 8월 8일부터 3주간 서울 영등포구 명화라이브홀에서 스탠딩 콘서트 ‘악동들’을 개최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간다.
2025-07-04 10:35:55
YG, 베이비몬스터, 데뷔 1년 만에 '괴물 신인' 입증…음반 판매 172만 장 돌파 & 글로벌 질주
[이코노믹데일리] YG엔터테인먼트의 신인 걸그룹 베이비몬스터가 데뷔 1년 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차세대 K팝 기대주로 자리매김했다. 공식 데뷔 1년 만에 앨범 누적 판매량 172만 장을 돌파하고 음원 차트 역주행, 유튜브 구독자 폭증 등 눈부신 기록들을 쏟아내며 ‘괴물 신예’의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베이비몬스터는 지난해 4월 데뷔 이후 첫 정규 앨범 발매, 월드투어 개최 등 숨 가쁜 행보를 이어왔다. 미국 빌보드가 “2024년 가장 유망한 K팝 신인”으로 지목했던 기대를 뛰어넘는 성장을 이루며 데뷔 첫 해부터 K팝 시장에 뚜렷한 존재감을 각인시켰다는 평가다. 베이비몬스터의 성공적인 데뷔에는 탄탄한 실력이 뒷받침됐다. 멤버들은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과 완성도 높은 음악은 물론 음악 방송과 연말 무대 등에서 선보인 핸드마이크 라이브 퍼포먼스로 대중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특히 ‘SHEESH’와 ‘DRIP’은 무대 영상 공개 후 국내 주요 음원 차트에서 역주행하며 인기를 입증했다. ‘DRIP’은 빌보드 글로벌 200에서 30위, 빌보드 글로벌 (미국 제외) 차트에서 16위를 기록하며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고 각각 20주, 16주 연속 차트인하며 롱런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세계 최대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에서도 베이비몬스터의 활약은 두드러진다. ‘SHEESH’는 발매 당시 2024년 K팝 걸그룹 곡 중 최고 진입 기록을 세웠으며 발매곡들의 누적 스트리밍 횟수는 11억 회를 넘어섰다. 데뷔 앨범과 첫 정규 앨범 단 두 장으로 이룬 성과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성장세에 더욱 기대가 모아진다. 두터운 팬덤은 베이비몬스터의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다. 미니 1집 [BABYMONS7ER]는 K팝 걸그룹 데뷔 앨범 초동 신기록(40만 1287장)을 세웠으며 정규 1집 [DRIP]은 초동 판매량이 약 1.7배 증가한 67만7961장을 기록, 빌보드 200에 149위로 첫 진입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현재까지 누적 판매량은 172만 장을 돌파하며 밀리언셀러 등극을 눈앞에 두고 있다. 유튜브 채널 성장세 역시 가파르다. 베이비몬스터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는 데뷔 이후 약 428만 명이 증가하여 현재 889만 명에 육박한다. ‘SHEESH’ 뮤직비디오는 K팝 걸그룹 데뷔곡 최단 기간 억대 뷰를 달성하는 등 총 8편의 억대 뷰 영상과 채널 누적 조회수 42억 회를 기록하며 막강한 팬덤 파워를 입증했다. 베이비몬스터는 팬미팅 투어와 ‘서머소닉’, ‘TMEA’ 등 글로벌 음악 페스티벌에 참여하며 팬들과 꾸준히 소통해왔다. 현재는 팬미팅 투어 규모를 두 배 이상 확대한 20개 도시, 32회차의 첫 월드투어 ‘2025 BABYMONSTER 1st WORLD TOUR <HELLO MONSTERS>’를 진행하며 글로벌 팬심을 정조준하고 있다. YG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베이비몬스터가 아티스트로서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음악적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2025년 하반기에도 다양한 프로젝트로 팬들을 찾아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04-01 15:33:01
배그 모바일, 출시 7주년 맞아 베이비몬스터와 컬래버…"'DRIP' 듣고 춤추며 게임 즐기자"
[이코노믹데일리]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출시 7주년을 기념해 글로벌 인기 걸그룹 '베이비몬스터'와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컬래버레이션은 이날부터 오는 5월 7일까지 진행되며 이용자들은 다양한 게임 요소와 특별 아이템, 인게임 보상 등을 통해 베이비몬스터를 만날 수 있다. 베이비몬스터는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글로벌 홍보대사로 처음 선정됐다. 신선하고 역동적인 매력을 바탕으로 게임 이용자와 팬덤 '몬스티즈'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용자들은 '에란겔'과 '론도' 맵에서 베이비몬스터만의 개성이 반영된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특정 지역에 등장하는 비디오 버스에서는 멤버들의 영상 메시지를 감상하고 다양한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베이비몬스터의 감성을 담은 특별 포토존도 마련돼 멤버들과 함께 다양한 포즈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전투 중에도 뮤직 플레이어를 장착해 베이비몬스터의 음악을 감상할 수 있으며 신규 이모트를 활용해 대표곡 'DRIP'의 안무를 따라하며 승리의 순간을 더욱 특별하게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크래프톤은 베이비몬스터의 특색을 담은 '스케치 마이룸' 선물 아이템을 제공하고 다양한 미션을 수행해 포인트를 적립하면 한정판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차세대 글로벌 스타인 베이비몬스터는 YG엔터테인먼트 소속 7인조 걸그룹으로 정규 1집 'DRIP'으로 성과를 거둔 데 이어 첫 번째 월드 투어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글로벌 K-팝 시장에서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베이비몬스터는 루카, 파리타, 아사, 아현, 라미, 로라, 치키타 등 7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신인답지 않은 탄탄한 실력과 퍼포먼스로 '괴물 신예'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컬래버레이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공식 카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3-21 13:36:55
케이팝 주식, 미국 관세 영향 無 '안전한 피난처' 부상…올해 수익률 최대 47%
[이코노믹데일리] 우리나라의 정치·경제적 불안정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도 불구하고 케이팝(K-POP) 관련 주식들이 강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케이팝 기업 4곳(하이브·SM·JYP·YG)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하이브가 가장 높은 25만원, 나머지 △SM엔터테인먼트 9만6600원 △JYP엔터테인먼트 7만9900원 △YG엔터테인먼트 6만2600원 순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들 기업은 올해 들어 52주 최고가도 경신했다. 하이브 52주 최고가는 지난달 27일 기준 26만2500원으로 가장 높았다. 같은 날 SM엔터테인멘트와 JYP엔터테인먼트도 각각 10만2000원, 8만5100원으로 52주 최고가를 기록했다. YG엔터테인먼트는 이들 보다 며칠 늦은 지난 4일 6만6000원을 기록했다. 52주 최고가 기준 올해 누적 수익률을 살펴보면 지난 1월 2일 대비 △YG엔터테인먼트 47.65% △SM엔터테인먼트 42.66% △하이브 33.72% △JYP엔터테인먼트 25.89% 순으로 수익률이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시장 리스크로 부상한 가운데 케이팝 산업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지인해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엔터 업종에 대한 적극적인 비중 확대 의견을 유지한다"며 그 이유로 △핵심 지식재산권(IP)의 컴백 △내년까지 이어질 대규모 글로벌 투어 성과 △플랫폼 수익 본격화 △글로벌향 IP 라인업 강화 △엔화·달러 등 환율 수혜 △미국 관세 정책 미적용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엔터 기업들은 올해를 기점으로 아티스트들의 컴백과 신인 그룹 데뷔를 통해 실적 개선을 노리고 있다. 하이브는 방탄소년단(BTS)의 오는 6월 그룹 활동 재개를, YG엔터테인먼트는 블랙핑크의 하반기 월드투어를 계획 중이다. 지 위원은 하이브에 대해 "환율 수혜, 미국 관세 미적용, 중국 개방 등 우호적인 외부 변수와 BTS 컴백 등이 맞물린 가운데 손익이 최소 5000억원대로 상승할 것이란 기존 투자 의견은 변함 없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유혁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YG엔터테인먼트에 대해 "올해 상반기 트레저, 베이비몬스터, 2NE1 월드투어를 동시 진행해 합산 모객 수가 40만명 정도로 전망된다"며 "오는 6월부터는 블랙핑크 월드투어가 진행돼 올 하반기 실적 개선 강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SM엔터테인먼트는 지난달 24일 새로운 걸그룹 'Hearts2Hearts(하츠투하츠)'를 선보였으며 자사 아티스트들의 월드투어를 중점으로 활동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이남수 키움증권 수석연구위원은 SM엔터테인먼트와 관련해 "올해는 콘서트 성장에 주목해야 한다"며 "에스파로 인해 월드투어 라인업이 확장돼 남자 신인 그룹은 아시아 및 일본에서 볼륨을 키워 나가고 있고 기존 아티스트는 팬덤 강점 지역을 중심으로 완전체 및 유닛의 활동폭을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JYP엔터테인먼트는 지난 1월 20일 새 보이그룹 'KickFlip(킥플립)'을 선보이며 시장 확대에 나섰다. 김지현 흥국증권 연구원은 "올해 데뷔한 킥플립 앨범 판매량이 지난달 18일 기준 31만장을 기록하며 국내 남자 신인 기준 역대 6위의 판매량을 보여 킥플립의 앨범 판매량 증가가 기대된다"며 "고연차인 스트레이키즈 경우 해외팬 비중이 높아 팬덤 강화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2025-03-06 17:27:4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해킹 피해, 내 정보는...오늘부터 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
2
'국내 최대'가 '국내 최다 하자'로… 흔들리는 현대건설의 신뢰
3
퓨리오사AI, 1700억 투자 유치로 유니콘 등극…'탈엔비디아' 속도
4
국가인공지능위원회 2기 내달 출범...민간 전문가 중심 'AI 컨트롤타워'로
5
LG엔솔 '무음극 전지' 개발 순항...상용화는 언제?
6
은행계 캐피탈, 올 상반기 KB·신한·우리·하나 '줄줄이 적자'…PF 부실에 발목
7
삼성 '갤럭시 Z 폴드7', 미국 초기 판매량 50% 급증…역대 최고 기록
8
LG엔솔, 中기업 상대 특허침해소 승소했지만..."글로벌 대응 체계 강화 시급"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