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01 목요일
안개
서울 14˚C
안개
부산 14˚C
비
대구 15˚C
안개
인천 12˚C
흐림
광주 15˚C
비
대전 16˚C
비
울산 19˚C
비
강릉 15˚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S23'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클라우드 산업, 국내 매출 7조 돌파… "DX 전환·생성형 AI 확산이 성장 견인"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클라우드 산업이 디지털 전환(DX) 가속화와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를 발판 삼아 7조 원대 매출을 돌파하며 고속 성장세를 입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10일 발표한 ‘2024 클라우드 산업실태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클라우드 산업 매출은 7조 3953억원으로 전년 대비 26.6%(1조 5544억원) 증가했다. 보고서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수가 2389개로 전년 대비 18.3% 증가했다고 밝혔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2222개로 전체의 93%를 차지하며 산업 생태계를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은 127개(5.3%), 대기업은 40개(1.7%)로 뒤를 이었다. 이번 매출 증가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본격화된 DX 전환과 더불어 생성형 AI 기술의 급부상이 클라우드 시장 성장을 견인한 결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클라우드 기반 기술이 다양해지고 산업 전반에서 클라우드 활용이 성숙 단계에 접어들면서 DX에 소극적이던 산업군에서도 클라우드 도입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투자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과 같은 신기술 도입이 늘고 AI,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이 활성화되면서 클라우드 공급 기업 증가로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서비스 유형별 공급 기업 현황을 살펴보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이 1642개(68.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서비스형 인프라(IaaS) 기업 436개(18.3%), 서비스형 플랫폼(PaaS) 기업 157개(6.6%), 클라우드 운영·관리(CMS) 기업 94개(3.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CMS 기업은 전년 대비 44.6%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CMS 기업의 높은 성장률에 대해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영향력이 큰 시장 환경 속에서 이들과 공존 가능한 관리형 서비스 제공 사업(MSP)으로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MSP 기업의 매출 증가율 역시 73.5%로 IaaS(23.9%), SaaS(21.3%), PaaS(18.7%)를 크게 앞지르며 높은 성장세를 입증했다. 한편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별 매출액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3조 1000억원(42.2%)으로 가장 높았으며 퍼블릭 클라우드 2조 6000억원(35.0%), 프라이빗 클라우드 1조 7000억원(22.8%) 순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드 산업 종사자 수는 총 3만 654명으로 전년 대비 15.3%(4069명) 증가했다. 보고서는 “클라우드 산업 성장에 따라 전문 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인력 양성과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며 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2025-02-10 15:41:29
삼성전자, 신제품 구매 없이 중고폰 반납하는 '갤럭시 간편보상' 프로그램 실시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가 새로운 중고 스마트폰 보상 프로그램인 ‘갤럭시 간편보상’을 오는 14일부터 삼성닷컴에서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를 통해 편리하고 안전한 중고 스마트폰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고 갤럭시 스마트폰의 시장 가치를 보존하겠다는 방침이다. 갤럭시 간편보상은 고객이 신제품을 구매하지 않아도 언제든지 갤럭시 스마트폰을 삼성닷컴에서 판매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대상 모델은 △갤럭시 S23·S22·S21·S20 시리즈 △갤럭시 Z 폴드5·폴드4·폴드3 △갤럭시 Z 플립5·플립4·플립3 등이다. 보상 기종은 국가에 따라 다르다. 중고 갤럭시 스마트폰 판매를 원하는 고객은 삼성닷컴의 갤럭시 간편보상 페이지에서 예상 견적을 확인한 후 간편보상 프로그램을 신청하고 회수 가이드에 따라 제품을 택배로 발송하면 된다. 회수된 제품은 상태에 따라 엑설런트, 굿, 리사이클 등 3개 등급으로 판정된다. 이후 등급에 맞는 보상 금액이 고객에게 지급된다. 전반적인 프로그램 운영은 삼성전자 파트너사 ‘라이크와이즈’가 담당하며 해당 프로그램은 국내를 시작으로 해외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2025-01-13 16:37:4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유심 해킹 여파… 편의점 알뜰폰 유심 판매 불티
2
테일러 공장 완공 눈앞…삼성전자, 수익성·관세 딜레마 직면
3
SKT '유심 해킹돼도 금융 탈취 불가...FDS·보호서비스로 차단'
4
SKT, 유심 해킹 피해 100% 보상 약속… "보호 서비스 가입 우선" [대고객 발표 전문]
5
[단독] 코웨이, 1년 넘게 동명이인 렌탈 요금 합산 인출
6
SKT 유심 무료 교체 첫날 혼란… 온라인 예약에도 '오픈런'
7
[유통가 사모펀드 쇼크] ③ 같은 전략, 엇갈린 운명…사모펀드의 빛과 그림자
8
SK에코플랜트, 반도체 생태계로 체질 전환…IPO 앞두고 사업 대수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