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11 금요일
맑음
서울 35˚C
흐림
부산 30˚C
구름
대구 31˚C
맑음
인천 33˚C
흐림
광주 33˚C
맑음
대전 33˚C
맑음
울산 29˚C
맑음
강릉 28˚C
흐림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IEEE DCASE'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KAIST 최정우 교수팀,'사람처럼 듣는 AI'…세계 음향 기술 대회 정상에 서다
[이코노믹데일리] KAIST 연구팀이 여러 소리가 뒤섞인 복잡한 환경에서 특정 소리만 정확히 분리하고 식별해내는 인공지능(AI) 기술로 세계 최고 권위의 기술 대회 정상에 올랐다. 마치 사람이 시끄러운 공간에서도 원하는 소리에 집중해 듣는 방식을 모방한 이 기술은 향후 AR/VR 콘텐츠 제작이나 국방 감시 시스템의 혁신을 이끌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KAIST는 11일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정우 교수 연구팀이 음향 탐지 및 분석 분야의 세계 최고 대회인 ‘IEEE DCASE 챌린지 2025’에서 ‘공간 의미 기반 음향 장면 분할’ 분야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86개 팀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서 최 교수팀은 기술 난이도가 가장 높은 분야에 처음 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성능으로 우승하는 쾌거를 이뤘다. 연구팀의 성공 비결은 ‘단계적 추론 방식’의 AI 모델에 있다. 이 모델은 먼저 혼합된 소리들을 1차로 분리한 뒤 그 결과에서 얻은 소리의 종류나 방향 같은 단서를 활용해 다시 한번 정교하게 음원을 분리하고 분류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는 인간의 청각 인지 방식을 AI로 구현한 것으로 기술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높게 평가받았다. 성능은 객관적인 수치로 입증됐다. AI가 소리를 얼마나 선명하게 분리했는지를 평가하는 ‘음원의 신호대 왜곡비 향상도(CA-SDRi)’ 지표에서 참가팀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인 11데시벨(dB)을 기록했다. 이는 경쟁 모델들과 기술 격차가 상당함을 의미한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의 활용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AR/VR 콘텐츠 제작 시 공간 음향을 음원별로 자유롭게 분리해 편집하거나 드론이나 공장 설비, 국경 감시 시스템 등에서 이상 음향을 조기에 탐지하는 차세대 음향 감시 체계에 적용될 수 있다. 최정우 교수는 "연구팀은 최근 3년간 세계 최고의 음향 분리 AI 모델을 선보여 왔으며 그 결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계기가 되어 기쁘다”면서 “난이도가 대폭 향상되고 불과 몇 주간만 개발이 가능했음에도 집중력 있는 연구를 통해 1위를 차지한 연구팀 개개인이 자랑스럽다”고 소감을 밝혔다.
2025-07-11 07:59:5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제3회 금융포럼] 급변하는 글로벌 금융지형…"한국만의 전략적 해법 모색 必" 한목소리 (종합)
2
[제3회 금융포럼] 정운영 이사장 "글로벌 금융정책 경쟁력, '제도 설계'서 승부 가른다"
3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오는 8-9월 국내 출시 임박
4
폐플라스틱,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으로 재탄생 성공
5
다보성갤러리,중국 저명 감정가 초청 미공개 유물 감정
6
이재명 정부, 주택공급 속도전 예고…1기 신도시 정비 본격화 전망
7
시공사에 매출 3% 과징금…건설업계 "퇴출 압박" 반발
8
다보성갤러리,중국 황실·귀족들이 사용하던 진품·명품 추가공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당국, MG손보 노조 갈등에 내몰린 계약자들...이들의 '계약 유지권'은 어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