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4대 과기원, 정부 지원 예산 27% 불과…교원 이탈 심화
[이코노믹데일리] 대한민국 과학기술 인재 양성의 요람인 4대 과학기술원의 R&D 경쟁력에 빨간불이 켜졌다. 전체 운영 예산 중 정부 지원 비중이 4분의 1 수준에 그치면서 우수 교원들의 이탈이 가속화되는 등 질적 저하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이 4대 과기원(KAIST, GIST, DGIST, UNIST)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이들 기관의 총예산 2조2486억원 중 정부 지원금은 27.7%인 6241억원에 불과했다. 기관별로 보면 KAIST가 1조3570억원의 예산 중 20.5%만 정부 지원을 받아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GIST(42.7%), DGIST(42.2%), UNIST(30.4%) 등 다른 과기원 역시 재정 자립도가 불안정한 상황이다. 최수진 의원은 기관 운영에 필수적인 인건비 지원 예산조차 83% 수준에 그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재정난은 곧바로 핵심 인력인 교원들의 이탈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6년간 4대 과기원에서 자발적으로 퇴직한 교원은 총 162명에 달했다. 특히 UNIST는 이 기간 동안 전체 교원의 20%에 해당하는 70명이 이직했으며 DGIST 역시 16.7%의 높은 이직률을 보였다. 인재 유출은 곧바로 대학 경쟁력 하락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QS 세계대학랭킹에서 KAIST는 53위를 기록했지만 UNIST(280위), DGIST(326위), GIST(359위)는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등 국제 무대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원 부족은 연구개발 재투자의 악순환을 낳고 있다. UNIST의 경우 외부 수탁 연구비의 70% 이상을 인건비, 경상비 등 기관 운영비로 충당하며 사실상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연구경쟁력 저하와 교원 창업 부진으로 이어져 최근 3년간 4대 과기원의 교원 창업 기업은 65개에 불과했다. 최수진 의원은 "윤석열 정부 들어 4대 과기원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정작 기본적인 기관운영비 지원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4대 과학기술원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인재 양성과 국가 연구개발의 허브인만큼 정부의 지원 규모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10-24 08:49:49
-
-
카카오가 'KAIST·GIST' 인재에 직접 투자한다…500억 AI 펀드, 이렇게 쓰인다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그룹이 500억원 규모의 AI 기금을 앞세워 ‘지역 AI 생태계’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그 첫걸음으로 카카오의 투자 전문 자회사 카카오인베스트먼트가 국내 4대 과학기술원과 손잡고 대학 기반의 유망 AI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지난 19일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지역 AI 육성 프로젝트’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는 전날(18일) 카카오그룹이 발표한 ‘5년간 500억원 규모 AI 기금 조성’ 계획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첫 번째 공식 행보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자금 지원을 넘어 카카오 공동체 전체의 역량을 동원해 스타트업의 성장을 전 주기에 걸쳐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매년 4대 과기원 내 학생 및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경진대회를 열어 AI, 금융, 모빌리티, 콘텐츠 등 4개 분야의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한다. 최종 선발된 팀은 초기 시드 투자를 받게 되며 이후 카카오와 함께 구체적인 성장 목표(마일스톤)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할 경우 후속 투자까지 연계받는 체계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특히 카카오 본사를 비롯해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등 각 분야를 선도하는 계열사 전문가들이 직접 멘토로 참여한다. 이들은 창업팀에게 기술 개발, 사업 전략, 마케팅 등 실질적인 노하우를 전수하고 카카오의 방대한 플랫폼과 데이터를 활용해 시장을 검증하고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민관 협력 모델 이번 프로젝트는 수도권에 집중된 AI 인재와 자원을 지역으로 확산시켜 ‘교육-연구-창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카카오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는 최근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 AI 균형발전 정책과도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민관이 협력하는 새로운 혁신 모델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도영 카카오인베스트먼트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은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한 카카오그룹의 기금 조성 계획을 실질적으로 실행하는 첫 걸음”이라며 “카카오인베스트먼트는 국가 기술 연구 개발의 기반인 4대 과기원과의 협력을 통해 유망한 인재와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이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선정 절차는 사업계획서 접수를 시작으로 4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최종 선발된 팀은 오는 12월부터 투자금 집행과 함께 본격적인 성장 지원 프로그램을 받게 될 예정이다. 카카오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제2의 AI 유니콘’이 지역 과학기술원에서 탄생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025-09-20 13:12: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