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2 일요일
맑음
서울 8˚C
맑음
부산 9˚C
구름
대구 8˚C
흐림
인천 10˚C
흐림
광주 11˚C
구름
대전 9˚C
흐림
울산 11˚C
맑음
강릉 9˚C
흐림
제주 1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AI 워크로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네이버클라우드, '풀스택 AI 인프라' 공개…"GPU 운영 효율로 승부"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클라우드가 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은 단순히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얼마나 많이 확보하느냐가 아닌, 확보한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는지에 달려있다고 선언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 최초의 AI 데이터센터 ‘각 세종’에서 데이터센터부터 AI 플랫폼까지 모든 기술을 내재화한 ‘풀스택 AI 인프라’를 공개하며 글로벌 수준의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GPUaaS(서비스형 GPU) 시대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 이상준 CIO는 지난 27일 열린 테크밋업에서 “AI 인프라의 경쟁력은 GPU를 얼마나 많이 확보하는가를 넘어 확보한 자원을 얼마나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지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GPU 확보 경쟁에만 매몰되지 않고 운영 기술 내재화를 통해 AI 인프라 경쟁력을 완성하겠다는 네이버클라우드의 차별화된 전략을 보여준다. 네이버는 이미 2019년 엔비디아의 ‘슈퍼팟’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상용화하며 초고성능 GPU 클러스터를 직접 설계·운영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각 세종’에서는 대규모 GPU 클러스터의 냉각, 전력, 네트워크 등 핵심 인프라를 AI 워크로드에 맞춰 자체적으로 최적화하는 기술을 내재화했다. 이 CIO는 “네이버의 데이터센터는 AI 워크로드 전체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풀스택 AI 인프라”라며 “이처럼 인프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적으로 설계·운영할 수 있는 역량은 국내는 물론 글로벌에서도 손꼽힌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AI 연산의 폭증으로 발생하는 막대한 열을 관리하기 위해 ‘각 세종’에는 자체 개발한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이 적용됐다. 계절별로 외부 공기와 냉수를 병행 사용하는 이 시스템은 GPU 밀도가 높아져도 안정적인 열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차세대 기술인 액침냉각 인프라까지 구축해 고밀도 환경에 대응하는 기술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있다. 24시간 무중단 운영을 위해 전력, 냉각, 서버 등 모든 시스템은 이중화 구조(Active-Active Architecture)로 설계됐다. 수십만 대의 서버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구축한 자동화된 운영 체계는 장애 발생 시에도 시스템이 자동으로 복구해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한다. 이러한 인프라 위에서 하이퍼클로바가 운영되는 네이버의 AI 플랫폼은 모델 개발부터 학습, 추론까지 AI의 전 과정을 통제하는 ‘두뇌’ 역할을 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렇게 내부에 축적한 압도적인 기술과 운영 역량을 ‘GPUaaS’ 모델을 통해 국내 기업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이상준 CIO는 “네이버클라우드는 축적한 AI 인프라 운영 역량을 GPUaaS 모델로 발전시켜 국내 기업들이 손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며 “이를 통해 AI 인프라가 특정 기업의 자산을 넘어 산업 전반의 성장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025-10-28 09:21:30
SK하이닉스, 세계 최고층 321단 낸드 기반 UFS 4.1 개발
[이코노믹데일리] SK하이닉스가 세계 최고층인 321단 1테라비트(Tb) 트리플 레벨 셀(TLC) 4D 낸드 플래시를 적용한 모바일용 솔루션 제품 'UFS 4.1'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이번 UFS 4.1 기반 제품을 통해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메모리 리더십을 선도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모바일에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선 탑재되는 낸드 설루션 제품 역시 고성능과 저전력 특성을 고루 갖춰야 한다. UFS 4.1은 주어진 시간 안에 처리해야하는 데이터 작업의 종류와 양을 의미하는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최근 온디바이스 AI 수요가 증가하며 기기의 연산 성능과 배터리 효율 간 균형이 중요해지고 있어 모바일 기기의 얇은 두께와 저전력 특성은 업계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SK하이닉스는 이번 제품의 전력 효율을 이전 세대인 238단 낸드 플래시 기반 제품 대비 7% 개선했다. 제품의 두께도 1㎜에서 0.85㎜로 줄이는 데 성공해 초슬림 스마트폰에 탑재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또한 이번 제품은 UFS 4세대 제품의 순차 읽기 최대 성능인 4300MB/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모바일 기기의 멀티태스킹 능력을 좌우하는 랜덤 읽기와 쓰기 속도도 이전 세대 대비 각각 15%, 40% 향상돼 현존하는 UFS4.1 제품에서 세계 최고 성능을 달성했다. 이에 온디바이스 AI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를 지연 없이 공급하고 앱(애플리케이션) 실행 속도와 반응성을 높여 사용자가 체감하는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K하이닉스는 512기가바이트(GB), 1테라바이트(TB) 두 가지 용량 버전으로 개발한 이번 제품을 연내 고객사에 제공해 인증을 진행하고 오는 2026년 1분기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안현 SK하이닉스 개발총괄 사장은 "이번 제품 출시를 필두로 세계 최고층 321단 4D 낸드 기반 소비자용, 데이터센터용 제품도 연내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낸드 부문에서도 AI 기술 경쟁력을 갖춘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풀스택 AI 메모리 판매자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겠다"고 말했다.
2025-05-23 14:46:1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4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5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