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1 화요일
맑음
서울 2˚C
맑음
부산 5˚C
맑음
대구 7˚C
맑음
인천 5˚C
흐림
광주 5˚C
흐림
대전 5˚C
흐림
울산 7˚C
흐림
강릉 5˚C
흐림
제주 1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0.25%포인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코스피, 장중 3482.26 터치…52주 최고가 경신
[이코노믹데일리]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의 강력한 매수세에 힘입어 장중 52주 최고가를 경신하며 연일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이날 18.60p(0.54%) 오른 3463.84에 출발해 오후 2시 2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16.88p(0.49%) 상승한 3462.12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에는 52주 최고가인 3482.26까지 치솟기도 했다. 투자주체별로는 개인투자자가 7113억원을 순매도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투자자가 각각 3038억원, 3866억원을 순매수하며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을 합쳐 총 6904억원의 매수 물량이 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는 셈이다. 프로그램 매매에서도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를 합쳐 4246억원 매수 우위를 나타내며 기관들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상승세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내렸다. 앞서 지난 19일 뉴욕증시도 일제히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37% 오른 4만6315.27, S&P500지수는 0.49% 상승한 6664.36 나스닥지수는 0.72% 오른 2만2631.476을 기록했다. 시가총액별로는 대형주가 0.64% 오름세를 보이며 상승을 주도했고 중형주는 0.39% 상승했다. 다만 소형주는 0.01%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기기가 1.40%, 제조업이 1.01% 오르며 강세를 나타냈다. 반면 통신업은 1.37%, 금속업은 1.48%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3600원(4.52%) 급등한 8만3300원에 거래되며 코스피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3000원(0.85%) 하락한 35만원, LG에너지솔루션은 1000원(0.29%) 내린 34만8500원에 거래됐다. 두산에너빌리티(2.96%)와 현대차(1.64%)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코스닥지수도 동반 상승했다. 이날 5.95포인트(0.69%) 오른 869.06에 출발해 같은 시간 10.21포인트(1.18%) 상승한 873.32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투자자가 1649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는 각각 796억원, 33억원을 순매도했다.
2025-09-22 14:25:2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정의선·정기선 손잡다, 현대 특허무효심판 승소
2
효성 리스크 해소됐는데...효성화학이 그룹 발목잡나
3
[단독] 조현준 효성 회장 '아픈손가락' 진흥기업...경영실패 드러나나
4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①] 팰리세이드 전부 리콜...싼타페·아이오닉6까지 73만대 돌파
5
포스코DX, 포항제철소 불산 누출 사망사고에 '늑장신고' 논란…심민석 대표 "재발 방지" 공식 사과
6
'토종 SW 자존심' 더존비즈온, 외국 자본에 넘어갔다…김용우 회장, '먹튀' 비판
7
BC·하나카드 등 스테이블코인 '시동'...업계 "방향성 여전히 불투명"
8
KT 해킹, '펨토셀'이 암호화 뚫었다…문자·통화까지 노출 우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석유화학 설비 통폐합·구조조정 논의 속...노동자의 목소리는 어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