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0 월요일
맑음
서울 11˚C
맑음
부산 14˚C
맑음
대구 15˚C
맑음
인천 10˚C
맑음
광주 10˚C
맑음
대전 9˚C
맑음
울산 11˚C
맑음
강릉 10˚C
맑음
제주 1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피해업체'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이메일 해킹 외환 무역사기 증가세…4년간 피해액 1330억원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무역회사가 이메일 해킹 등 외환 무역사기 거래로 금전적 피해를 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4년간 피해금액은 13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감독원은 2021년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은행 송금 등을 통해 발생한 외환 무역사기 피해 규모는 총 1591건, 9584만 달러(한화 약 1330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피해 유형별로는 이메일 해킹을 통한 사기계좌로의 송금 유도가 1518건(95.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기타 수수료 편취 사기(73건·4.6%)도 꾸준히 발생했다. 피해업체 상당수는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미입금 통지나 입금 독촉 요청 등을 받고서야 뒤늦게 사기 피해사실을 인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 영국, 중국, 홍콩 등 상위 4개국이 전체 피해액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최근에는 베트남, 아랍에미리트, 포르투갈 등으로 피해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수취인 국적과 수취 계좌 국적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24%에 달했고, 아랍에미리트와 포르투갈 계좌가 빈번히 이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외환 무역사기는 국경간 거래의 특성상 해외 송금 후 피해 금액 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사전 확인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요 은행들과 협의해 고객에게 사기 의심 건을 미리 알려주기 위한 모니터링 기준 정비, 안내 강화 등 예방 대책을 올해 4분기 중 공통 적용하기로 협의했다"고 말했다.
2025-09-29 09:33:4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정의선·정기선 손잡다, 현대 특허무효심판 승소
2
효성 리스크 해소됐는데...효성화학이 그룹 발목잡나
3
[단독] 조현준 효성 회장 '아픈손가락' 진흥기업...경영실패 드러나나
4
[현대·기아차그룹 美리콜 '100만대 시대' 해부①] 팰리세이드 전부 리콜...싼타페·아이오닉6까지 73만대 돌파
5
포스코DX, 포항제철소 불산 누출 사망사고에 '늑장신고' 논란…심민석 대표 "재발 방지" 공식 사과
6
'토종 SW 자존심' 더존비즈온, 외국 자본에 넘어갔다…김용우 회장, '먹튀' 비판
7
크래프톤, 'AI First' 선언하며 신규 채용 중단…"AI로 생산성 극대화"
8
BC·하나카드 등 스테이블코인 '시동'...업계 "방향성 여전히 불투명"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석유화학 설비 통폐합·구조조정 논의 속...노동자의 목소리는 어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