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4 금요일
맑음
서울 4˚C
맑음
부산 5˚C
맑음
대구 6˚C
맑음
인천 9˚C
맑음
광주 7˚C
맑음
대전 7˚C
맑음
울산 9˚C
맑음
강릉 9˚C
맑음
제주 1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프놈펜상업은행'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JB금융, 3분기 누적 순이익 5787억원…'사상 최대' 경신
[이코노믹데일리] JB금융그룹이 3분기 누적·분기 기준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JB캐피탈 등 비은행 계열사가 선전한 동시에 안정적인 자본비율 기반으로 주주환원책 조기 달성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28일 JB금융의 경영실적 공시에 따르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지배지분 기준)은 전년 동기(5631억원) 대비 2.8% 증가한 5787억원으로 집계됐다. 분기 기준으로는 2083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1930억원)보다 7.9% 증가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누적 기준 765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7478억원) 대비 2.4% 증가했고, 분기 기준으로도 2610억원에서 2811억원으로 7.7% 늘었다. 3분기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총자산이익률(ROA)은 각각 13.5%, 1.15%를 기록하며 동일 업종내 최상위 수준의 수익성 지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JB금융 측 설명이다. 경영 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4.8%를 기록해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다. JB금융은 위험가중자산이익률(RORWA) 중심의 질적 성장 전략을 더욱 강화해 핵심사업 비중을 확대 하는 등 자산 리밸런싱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보통주자본비율(CET1·잠정)은 전분기 대비 32bp(1bp=0.01%p) 상승한 12.72%를 기록하며 견조한 자본적정성을 유지 중이다.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전북은행은 1597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면서 전년 동기(1591억원) 대비 0.4% 늘었다. 반면 광주은행은 같은 기간 2511억원에서 7% 줄어든 2336억원을 거두는 데 그쳤다. 특히 JB우리캐피탈이 전년 동기(1824억원) 대비 16% 증가한 2115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하며 그룹의 성장세를 견인했다. 그밖에 JB자산운용과 JB인베스트먼트는 각각 43억원, 61억원의 순이익을, 해외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은 전년 동기 대비 33.6% 증가한 370억원의 순익을 달성했다. 이날 JB금융 이사회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보통주 1주당 현금배당 160원의 분기배당과 함께, 신탁계약 체결을 통한 4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취득 및 소각을 결정했다. 앞서 JB금융은 최근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결정한 바 있는데, 주주환원율 45% 달성을 위해 이날 실적 공개와 동시에 추가 매입·소각 발표도 있을 것으로 업계에선 전망해 왔다. 지난해 JB금융이 내놓은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은 2026년 말까지 주주환원율 45% 달성, 장기적으로는 2027년말까지 50%를 달성하는 게 목표다. JB금융 관계자는 "앞으로도 안정적인 자본비율을 기반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10-28 17:14:1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현대홀딩스, 현대네트워크 흡수합병…현정은 체제 지배 구조 단일화
2
[정보운의 강철부대] 정의선·정기선, '현대'를 되찾은 진짜 의미…20여년 만에 다시 이어진 현대家의 피
3
효성家 베트남 사업서 형제간 명암 엇갈려
4
현대건설, 약속이 멈추자 실적도 멈췄다
5
KT 해킹, '펨토셀'이 암호화 뚫었다…문자·통화까지 노출 우려
6
이재용의 '뉴삼성' 시동...정현호 용퇴·TF팀 해체 "대대적 쇄신 예고"
7
미국서 가격 낮춘 위고비·마운자로, 국내 시장선 현실성 낮아
8
LGU+·SKT·한화, UAM 사업 전면 재검토..."상용화 지연 탓"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정부의 슈링크플레이션 대책, 올해는 달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