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3 화요일
흐림
서울 15˚C
맑음
부산 13˚C
맑음
대구 12˚C
흐림
인천 15˚C
구름
광주 11˚C
흐림
대전 12˚C
맑음
울산 12˚C
구름
강릉 13˚C
맑음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푸틴대통령'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현대차·기아, 러시아 진출 시동…"중국차 점유율 잡기 위해 가격·품질 경쟁력 확보 필수"
[이코노믹데일리] 현대차·기아가 러시아 연방 지적재산서비스(로스파텐트)에 총 8개의 상표를 등록하며 러시아 시장 재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평회회담을 제안하며 종전 가능성이 커져서다. 전문가들은 종전 협상이 된다면 현대차와 기아는 현재 중국이 러시아 내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을 잡고 입지를 다지기 위해 가격과 품질 경쟁력 확보에 신경써야 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가 최근 러시아 연방 로스파텐트에 현대 ix10, ix40, ix50 등 3개 상표를 등록했다. 기아 역시 마이 모빌리티, 어베터 웨이 투 고, 그린 라이트, 기아 에디션플러스 등 새로운 상표 5건을 등록했다. 현대차·기아가 이같이 러시아 시장 재진출에 발돋움을 하는 건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가능성이 커져서다. 앞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각)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우크라이나에 오는 15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직접 대화를 제안한다"며 "아무 전제 조건 없이 직접 협상을 재개하자"고 말했다. 이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1일 소셜미디어 엑스(X)에 올린 글에서 "살상을 연장할 이유가 없다. 나는 15일 튀르키예에서 직접 푸틴 대통령을 기다릴 것"이라고 답했다. 이같은 상황에 현대차·기아는 러시아 공장을 다시 가동하기 위해 시동을 걸었다. 러시아 내 생산량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에 재진출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 2021년 러시아에서 35만4000대를 팔아 단일 브랜드 기준 점유율 1위(23.3%)에 오른바 있다. 또한 현대차그룹은 재작년 12월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포함한 러시아 지분 100%를 1만루블(당시 14만원 상당)에 매각하면서 2년 내 공장을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옵션을 넣기도 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은 연 생산량 20만대 규모로 지난 2021년에는 기아 리오 9만2045대, 현대차 쏠라리스 7만1159대, 크레타 7만600대가 출고됐다. 문제는 러시아 내 중국 자동차 기업 점유율이다. 지난달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의 '러시아 자동차 산업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계 브랜드의 러시아 자동차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21년 8%에서 지난해 60.4%로 급등했다. 또한 중국의 대러시아 자동차 수출은 지난 2022년 15만4000대에서 지난해 117만대로 2년 사이 7.6배 급증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러시아 공장을 다시 가동한 뒤 러시아 내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 경쟁력과 품질을 확보해 중국 제품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환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양국이 합의를 통해 종전이 이뤄지면 러시아와 관련한 경제 활동이 재개되는 데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중국의 경쟁력이 현재 많이 올라온 상황이기에 현대차기아는 가격 경쟁력뿐만 아니라 품질에 있어 차별점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2025-05-12 18:12:4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유심 인증키 미암호화 논란…SK쉴더스 前 부회장 사임 맞물려 파장
2
[이번 주 美 주요 일정] CPI·파월 연설…기업 실적 발표로 시장 변동성 예상
3
SKT, '유심 복제' 막는 '유심 재설정' 내일 전격 도입…"유심 교체와 보안 효과 동일"(종합)
4
SKT 이어 CJ까지…CJ올리브네트웍스 인증서도 해킹…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
5
NH투자증권, 지난해 소송 리스크 '최다'…3984억원 규모 70건 진행 중
6
[김인규의 기분상승] 26조원 체코 원전 수주 행방은 어떻게
7
[도전인가 무리수인가] ① 롯데칠성음료는 왜 빅썸바이오를 인수했나
8
첫 미국 출신 교황 탄생…레오 14세, 통합과 변화의 상징으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