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30 수요일
맑음
서울 31˚C
구름
부산 29˚C
맑음
대구 28˚C
맑음
인천 30˚C
흐림
광주 30˚C
흐림
대전 31˚C
흐림
울산 30˚C
흐림
강릉 30˚C
흐림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파생제품'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트럼프 50% 철강 관세, 가전까지 확산… 삼성·LG전자 '비상등'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에 부과하는 50% 관세를 가전제품 영역에도 확대하면서 삼성전자·LG전자 등 가전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는 12일 연방 관보를 통해 50% 관세가 적용되는 철강 파생제품 명단에 냉장고·건조기·세탁기·식기세척기·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등 가전 제품을 다수 추가했다. 관세 적용 시점은 오는 23일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지난 4일부터는 이를 50%까지 올렸다. 이번에는 원자재 뿐 아니라 철강을 포함한 파생제품까지 범위를 넓히면서 압박 수위를 더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현재 미국 테네시주와 조지아주에서 가전제품을 조립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부품은 한국과 멕시코 공장에서 조달하고 있어 관세 영향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완제품은 미국 내에서 생산하더라도 공급되는 부품에 관세가 적용되면 영업이익 감소와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조치로 인해 미국 내 소비자가 체감하는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BIS 관계자는 "철강 관세는 제품에 포함된 철강 비중을 기존으로 부과된다"고 설명했다.
2025-06-13 09:43:5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내 최대'가 '국내 최다 하자'로… 흔들리는 현대건설의 신뢰
2
SKT 해킹 피해, 내 정보는...오늘부터 유출 여부 직접 확인 가능
3
美 통상압력에 볼모가 된 '온플법'…빅테크 규제 공약, 모두 '올스톱'
4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최종 선발전, 네이버·LG·SKT 등 10개팀, 기술·세력 과시 총력전
5
국가인공지능위원회 2기 내달 출범...민간 전문가 중심 'AI 컨트롤타워'로
6
[시승기] 앙증맞은 외모에 강인한 성능...미니 쿠퍼, 소형 전기차 시장 주도한다
7
크래프톤, '인수 대박'이 '3447억 소송 대란'으로… M&A 후폭풍 맞나
8
한미 관세 협상, D-4…'시계 제로' 韓 제조업 초비상 '25% 관세 장벽'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