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뉴욕증시, 혼조세 속 S&P500 반등…실적·경제지표로 변동성 확대
[이코노믹데일리]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장 초반 하락세를 보였던 S&P500 지수는 장 막판 저가 매수세와 숏커버링에 힘입어 하락분을 모두 만회했다. 주요 기업 실적 발표와 경제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심리 속에 변동성은 확대됐다. 29일(현지시간) S&P50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06% 오른 5,528.75를 기록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28% 상승한 40,227.59에 마감했다. 나스닥100 지수는 0.03% 하락한 19,427.29로 약보합권에 머물렀고,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0.41% 오른 1,965.55를 나타냈다. 이날 시장은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이 발표한 4월 제조업 활동지수가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불안한 흐름을 보였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다시 부각되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지만,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주요 지수는 점차 낙폭을 만회했다. 시마 샤 프린시펄애셋매니지먼트 수석 전략가는 "4월 댈러스 연은 제조업 지수가 경기 침체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관세 관련 불확실성도 여전히 시장에 부담을 줬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중국이 미국에 5배 많은 물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120~145%에 달하는 관세율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긴장 완화를 위해 중국의 선제적 조치를 요구하면서도, 미국은 현재 17개국과의 무역 협상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업 실적 측면에서는 팩트셋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S&P500 기업 중 73%가 예상치를 웃돌았다. 이는 최근 5년 평균(77%)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해 다수 기업들이 2분기와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는 추세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세를 보였지만, 엔비디아는 화웨이가 신규 칩을 테스트하고 있다는 보도(확인되지 않은 소식)로 하락했다. 앤서니 사글림베네 아메리프라이즈 수석 시장 전략가는 "이번 주는 올해 들어 가장 복잡한 한 주가 될 것"이라며 "지속되는 무역 관련 뉴스, 주요 경제지표 발표, '매그니피센트 세븐' 기업들의 실적 공개가 겹치면서 투자자들의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파와드 라자크자다 포렉스닷컴 시장 분석가도 "무역 긴장, 경기 침체 우려, 통화정책 불확실성이라는 핵심 리스크가 여전히 시장에 상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채권시장에서 미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2년물 수익률은 3.756%에서 3.689%로, 10년물 수익률은 4.255%에서 4.206%로 각각 낮아졌다.
2025-04-29 07:44:31
-
-
미국 증시, 관세 충격 속 급등락…S&P‧나스닥 1.57%‧1.95%↓
[이코노믹데일리]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對中) 관세 정책에 따라 급등락을 반복하며 또다시 큰 변동성을 보였다. 장 초반 미국이 주요 동맹국과의 무역 갈등을 완화하거나 관세 인하 가능성이 거론되며 S&P500 지수는 4% 넘게 급등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전화통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베센트 재무장관이 "70여 개국과 관세 협상 요청이 들어왔다"고 밝힌 점이 시장의 낙관론을 키웠다. 장 중반 이후 상황은 급격히 반전됐다. 백악관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4%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 확인했고,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제이미슨 그리어가 단기간 내 관세 면제가 없다고 강조하면서 투자심리는 급속도로 냉각됐다. 이에 따라 S&P500은 결국 전 거래일 대비 1.57% 하락한 4,982.77로 마감했고, 다우존스 산업지수도 0.84%, 나스닥100 지수는 1.95%, 러셀2000 지수는 2.73% 각각 하락했다. 이날 미국 국채 시장도 혼란이 컸다. 3년물 국채 입찰이 예상보다 부진한 결과를 보이면서 시장에 충격을 줬고, 이로 인해 장기물인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가 전날보다 크게 상승한 4.291%를 기록했다. 반면 단기물인 2년 국채 수익률은 소폭 하락하며 3.730%를 나타냈다. 이는 안전자산으로서 국채에 대한 신뢰가 일부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의 스티븐 소스닉 전략가는 "투자자들이 작은 긍정적 소식에도 시장에 뛰어드는 FOMO(소외 공포) 현상을 보였지만, 결국 중국 관세 발표와 부진한 국채 입찰 결과 등이 겹치며 시장을 하락시켰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 수요일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미국 증시는 나흘 연속으로 극심한 변동성을 겪고 있다. S&P500 지수는 이날 하락으로 최근 최고점 대비 누적 하락률이 장중 20% 가까이 기록하기도 했다. 글로벌 연금 및 TDF 전문운용사인 미국 프린서플(Principal Asset Management)의 시마 샤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협상 방식에 근본적 변화가 없으면 시장의 불안이 쉽게 가라앉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노무라 증권의 찰리 맥엘리고트 전략가도 "관세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는 향후 몇 주 또는 몇 달간 계속될 것이며, 숏커버링 등으로 인한 일시적 반등은 가능하지만 전반적인 시장 흐름을 바꾸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조기에 인하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시장 일각에서는 극심한 시장 불안과 경기 둔화 가능성 속에서 연준이 완화적인 정책으로 돌아설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의 메리 데일리 총재는 "미국 경제가 아직 견고한 상황이며 트럼프 정부의 새로운 정책이 가져올 효과도 불확실하다"고 지적하며 성급한 금리 인하에 대해 경계하는 발언을 했다.
2025-04-09 08: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