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0 토요일
안개
서울 12˚C
흐림
부산 15˚C
흐림
대구 17˚C
안개
인천 12˚C
흐림
광주 12˚C
흐림
대전 13˚C
흐림
울산 14˚C
흐림
강릉 13˚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정정공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금감원, 한투증권 매출 과대 상계…"심사 착수"
[이코노믹데일리] 금융감독원이 한국투자증권의 매출 과대 상계와 관련해 본격적인 심사에 착수했다. 1일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 부문 부원장은 현안 브리핑에서 "(5년간 매출 과대 계상)규모와 비율, 고의성 등을 살펴 감리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후 과정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치 사업보고서를 정정 공시했다. 내부 회계 오류로 매출(영업수익)이 약 5조7000억원가량 부풀려진 탓이다. 연도별 영업수익은 △2019년 9조9236억원→9조6820억원 △2020년 15조2000억원→14조5600억원 △2021년 11조6060억원→12조4305억원 △2022년 20조8065억원→21조6689억원 △2023년 22조848억원→19조3540억원으로 정정공시를 한 바 있다. 이는 한투증권 리테일 부서와 FX(외환)부서가 해외 투자를 위해 환전 거래를 발생하면서 손익을 매출로 잡으면서 사업보고서에 별도로 계상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2025-04-01 16:41:09
1조클럽 순항하던 '한투'…5년치 '회계 정정'에 당국 촉각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1조클럽(영업이익 1조원)'으로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던 한국투자증권이 최근 5년간 사업보고서에서 영업수익과 영업비용을 대거 정정했다. 외환거래 수익 회계 처리 오류를 바로잡았다고 해명했지만 정정 규모가 크면서 금융당국의 조사 가능성이 거론된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지난 5년(2019~2023년) 사업보고서의 영업수익과 영업비용을 정정했다. 정정된 내용은 영업수익의 경우 △2019년 10조7713억원→10조5270억원(▼2442억원) △2020년 16조5117억원→15조8717억원(▼6400억원) △2021년 13조7861억원→13조2109억원(▼5752억원) △2022년 25조281억원→22조9395억원(▼2조886억원) △2023년 23조785억원→20조8934억원(▼2조1851억원)으로 변경됐다. 별도로 영업비용은 △2019년 9조8295억원→9조5853억원(▼2442억원) △2020년 15조6554억원→15조154억원(▼6400웍원) △2021년 12조2651억원→11조6899억원(▼5752억원) △2022년 24조4824억원→22조2937억원(▼2조1887억원) △2023년 22조2581억원→20조730억원(▼2조1851억원)으로 정정됐다.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결산하는 과정에서 외환거래 수익 화계 처리 오류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투자증권은 정정사유에 대해 "외환거래이익(영업수익) 및 외환거래손실(영업비용) 상계 조정에 따른 손익계산서 정정"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은 "내부 거래라 재무제표에 상계 기재하는 부분에 실수가 있었고,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이 없다"며 "내부 점검 중 실수를 발견해 금융감독원에 보고하고 공시를 진행했다"고 덧붙였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가장 먼저 1조클럽에 달성하면서 역대급 실적을 내고 순항 중인 가운데 업계에서는 이번 정정으로 금융당국 심사 대상에 오르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앞서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전년 대비 93.3% 증가한 1조2837억원 영업이익을 내면서 증권사 중 가장 먼저 1조클럽에 안착했다. 실제로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에 따르면 공시된 재무제표를 회사가 자진하여 수정하는 경우에 수정된 금액이 중요성 금액의 4배 이상이거나 최근 5년 이내에 3회 이상 수정한 경우 감리에 착수할 수 있다. 실제로 키움증권도 지난 2022년 외환거래이익·손실 과대계상과 미수금·미지급금 과소계상과 미수금·미지급금 회계처리 오류로 금감원으로부터 '기관주의'와 과태료 1600만원의 제재 처분을 받은 바 있다. 이번 한국투자증권의 정정 규모가 키움증권(5300억원)보다 크다. 투자금융업권 관계자는 "외환거래 회계처리 관련 공시는 환율 변동성이 커 실수가 잦은 편"이라며 "다만 5년치 오류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금융당국이 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5-03-26 17:35:0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KISA, SKT 해킹 관련 악성코드 8종 추가 발견… SKT '조사 중 사안'
2
SKT, 유심 인증키 미암호화 논란…SK쉴더스 前 부회장 사임 맞물려 파장
3
배터리 패권 경쟁 속 韓中 동맹 시동… 에코프로비엠, CATL과 협력 추진
4
SKT 이어 CJ까지…CJ올리브네트웍스 인증서도 해킹…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
5
이창용 한은 총재 "환율 하단 판단 일러…변동성 대응 중요"
6
첫 미국 출신 교황 탄생…레오 14세, 통합과 변화의 상징으로
7
정부 "韓 의약품, 美 안보에 위협 아냐…관세 불필요" 공식 의견 제출
8
SKT 유심 교체 100만명 돌파… 신규 가입 중단하고 교체 집중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