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18 금요일
흐림
서울 23˚C
비
부산 21˚C
비
대구 22˚C
흐림
인천 23˚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2˚C
비
울산 23˚C
흐림
강릉 22˚C
맑음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전력비용'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일론 머스크 xAI, 사우디 데이터센터 임차 추진…돌연 사우디로 옮기는 진짜 속셈
[이코노믹데일리]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AI 스타트업 xAI가 사우디아라비아의 데이터센터를 임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첨단 AI 모델 개발에 필수적인 막대한 컴퓨팅 자원을 저렴한 비용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16일(현지시간) xAI가 사우디 국부펀드(PIF)가 투자한 AI 기업 휴메인(HUMAIN) 등과 현지 데이터센터 용량 임차를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사우디의 가장 큰 이점은 AI 데이터센터 가동에 막대한 전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미국보다 훨씬 저렴한 전력 비용이다. 계약이 성사될 경우 기가와트(GW) 규모의 장기 임차 계약이 될 수 있다. xAI는 이미 미국 멤피스에 '콜로서스'라는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지만 AI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추가 시설 확보에 나선 것이다. 사우디가 풍부한 자본과 함께 최신 AI 칩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했다는 점도 xAI에게 매력적인 요소다. 사우디 휴메인은 지난 5월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AI 칩 'GB300 블랙웰' 1만8000개 이상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는 머스크가 AI 패권 경쟁의 핵심 자원인 전력과 자본, 반도체를 모두 확보하기 위해 중동의 '오일머니'와 손을 잡는 구체적인 행보로 풀이된다. xAI는 아랍에미리트(UAE)의 국부펀드가 지원하는 AI 기업 G42와도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로서는 사우디가 더 유력한 파트너로 거론된다. AI 시대의 석유로 불리는 컴퓨팅 파워를 둘러싼 글로벌 빅테크와 산유국 간의 합종연횡이 본격화되고 있다.
2025-07-17 10:11:3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애플 아이폰 17, 9월 공개 전망…초슬림 '에어' 모델 추가, '전면 재설계'
2
갤럭시 Z7 예판 돌입, 단통법 폐지 맞물려 통신사 '보조금 대란' 예고
3
실적 성장세에도 中 수주량 절반인 K-조선, 돌파구는 친환경 전략
4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
5
정부, 카드사에 '민생쿠폰 수수료 인하' 요청했지만 또 무산
6
AI 스타트업 코그니션, 구글이 인재 빼간 경쟁사 윈드서프 인수
7
SKT 위약금 면제 마지막 날, 이통3사 가입자 쟁탈전 '최고조'
8
SKT 사태가 부른 '보안 군비경쟁'…KT, 1조원 맞불에도 '이제와서' 비판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