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04 일요일
맑음
서울 12˚C
맑음
부산 14˚C
맑음
대구 14˚C
맑음
인천 11˚C
흐림
광주 9˚C
맑음
대전 9˚C
맑음
울산 11˚C
맑음
강릉 12˚C
맑음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저축성예금'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기업들, 투자 대신 예금…10억 초과 계좌 '사상 최대'
[이코노믹데일리] 잔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고액 예금 계좌 수가 처음으로 10만개를 넘어섰다. 예금주는 대부분 법인으로 시장금리 추가 하락을 예상한 기업들이 뭉칫돈을 은행에 맡긴 결과로 풀이된다. 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은행의 저축성예금 가운데 잔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계좌 수는 10만좌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6월 말(9만7000좌)보다 3000좌가 더 늘어난 규모다. 고액 예금 계좌 수는 지난 2021년 말 8만9000좌에서 2022년 6월 말 9만4000좌로 늘어난 뒤 2023년 말까지 9천5000좌로 머물러 있다가 지난해부터 다시 가파르게 증가했다. 10만좌를 찍은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2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전체 잔액도 크게 뛰었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성예금 중 잔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계좌의 잔액은 총 815조8100억원으로, 6개월 전(781조2320억원) 대비 34조5780억원(4.4%) 늘었다. 이 잔액이 800조원을 돌파한 것 또한 처음이다. 고액 예금 계좌 잔액은 2022년 말 796조3480억원까지 늘었다가 2023년 770조원대 초반까지 줄었고,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말 10억원 초과 정기예금과 저축예금이 각각 6만1000좌, 5000좌로 6개월 전과 비숫한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기업자유예금이 3만1000좌에서 3만4000좌로 증가했다. 기업자유예금은 법인 등이 일시 여유 자금을 은행에 예치하는 상품을 말한다. 지난해 하반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과 비상계엄 사태 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들이 투자를 유보하고 여윳돈을 쌓아둔 것으로 추정된다. 유형별 잔액을 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정기예금 잔액이 지난해 6월 말 538조5310억원에서 지난해 말 569조1020억원으로 30조5710억원(5.6%) 증가했다. 기업자유예금 잔액은 231조5560억원에서 234조8250억원으로 1.4%, 저축예금 잔액은 10조5290억원에서 11조960억원으로 5.4% 각각 늘었다. 한은은 지난해 10월과 11월 기준금리가 인하한 가운데 고금리 예금 '막차' 수요가 몰린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연 3.50%에 달했던 기준금리는 현재 2.75%까지 떨어졌으며, 경기 둔화 대응을 위한 연내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
2025-05-04 11:54:47
5대 은행 정기예금, 한 달 새 20조 빠져나간 까닭은
[이코노믹데일리] 주요 시중은행의 정기예금이 한 달 새 20조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의 수신금리 하향 조정과 연말 자금 수요가 쏠린 게 요인으로 분석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기예금에서 지난해 12월 빠져나간 자금만 21조원 이상이다. 이들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927조916억원으로 전월(948조2201억원) 대비 21조1285억원(2.23%) 감소했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 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면서 75조3381억원가량 늘었지만, 12월 들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다. 감소세 원인으로는 지난해 하반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들이 수신금리를 줄줄이 내리면서 고객들이 예금이 아닌 다른 투자처를 찾아 나선 게 영향을 미쳤단 의견이 제기된다. 실제 지난해 10월, 11월 연속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자 주요 은행들도 이를 반영해 수신금리를 내렸다. 이에 따라 이달 3일 기준 5대 은행의 1년 정기예금상품 금리는 연 3.15~3.22% 수준으로 전월(연 3.20~3.40%)보다 금리 하단은 0.05%p, 상단은 0.18%p 떨어졌다. 반면 요구불예금 등 다른 투자처로 옮기려는 대기성 자금은 증가했다.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MMDA)을 포함한 요구불예금은 전월보다 23조5억원(3.78%) 늘어난 631조2335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권사 계좌에 넣어두는 투자자 예탁금 역시 지난달 초 49조8986억원에서 지난달 30일 기준 54조5555억원으로 약 5조원 늘었다. 언제든 입출금이 가능한 요구불예금과 국내 증시의 주요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이른바 '투자 대기성자금'으로도 불린다. 이 자금들이 늘었다는 건 사실상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했단 의미이기도 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통상 연말엔 자금 수요가 쏠리는 시기"라며 "수신금리 하락 기조로 인해 머니무브 현상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25-01-06 16:21:3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해킹 사태, 국가 통신망 '뇌관' 건드렸다… 재발 방지 시스템 전면 개혁해야
2
SKT '유심 해킹돼도 금융 탈취 불가...FDS·보호서비스로 차단'
3
SKT 유심 해킹 여파… 편의점 알뜰폰 유심 판매 불티
4
[유통가 사모펀드 쇼크] ③ 같은 전략, 엇갈린 운명…사모펀드의 빛과 그림자
5
SK에코플랜트, 반도체 생태계로 체질 전환…IPO 앞두고 사업 대수술
6
[단독] 코웨이, 1년 넘게 동명이인 렌탈 요금 합산 인출
7
현대엔지니어링, 43년 만에 사명 변경 추진…"신뢰 회복 위한 전면 쇄신"
8
성남지역 새마을금고, 1700억 부당대출 사고 발생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