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2 목요일
흐림
서울 17˚C
흐림
부산 20˚C
흐림
대구 18˚C
흐림
인천 18˚C
흐림
광주 16˚C
흐림
대전 17˚C
흐림
울산 18˚C
흐림
강릉 18˚C
흐림
제주 2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임지훈'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은행원 연봉 훌쩍 넘었다…억소리 나는 '업비트 월급봉투' 열어보니
[이코노믹데일리] ‘크립토 윈터(가상자산 시장 침체기)’가 끝나고 시장이 점진적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가상자산 업계의 보수 규모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특히 국내 1위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임원진이 수십억 원대 연봉을 휩쓸고 직원 평균 급여 역시 4대 은행을 뛰어넘는 수준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과시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지난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올 상반기 가상자산 업계 ‘연봉킹’은 44억6168만원을 수령한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차지했다. 송 회장은 급여 15억2588만원에 상여금으로만 29억3580만원을 받았다. 시장 회복세에 따른 실적 개선이 고액의 성과급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2위 역시 두나무 몫이었다. 지난달 사임한 이석우 전 두나무 대표는 퇴직금 23억1625만원을 포함해 총 36억922만원을 수령했다. 이 전 대표의 상반기 급여는 4억3328만원, 상여는 8억5968만원이었다. 두나무는 상위 연봉 순위를 독식했다. 임지훈 최고전략책임자(CSO)가 12억815만원, 정민석 최고운영책임자(COO)가 10억5440만원을 받아 나란히 3, 4위에 이름을 올렸다. 국내 2위 거래소 빗썸에서는 최희경 전 준법감시인이 10억37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았다. 이 역시 퇴직금이 포함된 금액이다. 이어 소영호 상무가 6억3800만원, 김태윤 전무가 5억9000만원, 남승진 부장이 5억7200만원을 수령해 두나무 임원진과는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임직원 평균 보수에서도 두 기업의 희비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두나무 임직원 659명의 올 상반기 1인 평균 급여는 1억5269만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연간 1인 평균 보수인 1억1600만원을 반년 만에 훌쩍 뛰어넘은 수치다. 가상자산 시장의 점진적 회복과 함께 국내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는 두나무의 독보적인 실적이 직원들의 두둑한 성과급으로 이어진 결과다. 반면 같은 기간 빗썸코리아 임직원 637명의 1인 평균 급여는 4800만원으로 집계됐다. 다만 빗썸은 사무직군과 기술직군으로 나뉘어 급여가 산정됐으며 사무직군의 경우 남성 직원은 평균 6500만원, 여성 직원은 3200만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수 격차는 두 거래소의 실적 차이에서 비롯됐다. 두나무는 올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4916억원, 영업이익 2984억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 반면 빗썸은 같은 기간 매출 813억원, 영업이익 212억원에 그쳤다. 결국 시장 지배력과 실적이 임직원의 보수 수준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한 셈이다. 가상자산 시장이 하반기에도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경우 업계 선두 기업을 중심으로 한 '보수 잔치'는 계속될 전망이다.
2025-08-25 15:32:43
AWS가 인정한 韓 최고 AI 전문가…GS네오텍, 글로벌 기술 리더십 입증
[이코노믹데일리] GS네오텍이 아마존웹서비스(AWS)의 'TOP AWS 앰배서더'를 배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의 세계적인 기술력을 입증했다. 자사 AI센터 소속 임지훈 리서치 엔지니어는 지난 6월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2025 AWS 앰배서더 글로벌 서밋'에서 발표된 전 세계 9명의 수상자 중 국내에서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TOP AWS 앰배서더'는 기술 전문성과 AWS 파트너 생태계 내 리더십, 고객 가치 창출 기여도 등을 종합 평가해 선정하는 영예로운 자리다. 이번 수상은 GS네오텍의 생성형 AI 기술 역량이 글로벌 최상위 수준임을 AWS로부터 공식 인정받았다는 의미를 갖는다. 임 엔지니어는 생성형 AI 분야의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GS그룹 내외부의 다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아마존 Q 및 베드락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그는 기술 커뮤니티 성장에 기여한 점도 높이 평가받았다. 산업 세미나와 블로그 활동은 물론 'Amazon Bedrock으로 시작하는 실전 생성형 AI 개발'이라는 책을 발간해 AWS의 생성형 AI 활용 사례를 널리 전파했다. 최근에는 GS네오텍이 'AWS GenAI 컴피턴시'를 획득하는 데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임지훈 AI 리서치 엔지니어는 “이번 수상을 계기로 더 많은 기업이 AWS 기반의 생성형 AI 기술을 전략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보다 현실적인 아키텍처와 솔루션을 제시하겠다”면서도 “지속적인 기술 학습과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AWS 생태계 전반의 성장에도 기여하는 파트너가 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서정인 GS네오텍 IT사업본부장은 “이번 수상은 당사의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 경쟁력과 글로벌 수준의 기술 리더십을 다시 한번 입증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AWS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다양한 산업군의 고객이 혁신적인 AX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7-01 08:59:17
GS네오텍, 아마존 베드록 활용 실전 생성형 AI 전략 공유 세미나 성료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IT 서비스 기업 GS네오텍이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을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AI)의 기업 실무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Amazon Bedrock으로 시작하는 실전 생성형 AI 토크’ 세미나는 서울 AWS코리아 오피스에서 열렸으며, 기업 환경에 생성형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전략을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GS네오텍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생성형 AI 기술력과 시장 선도 역량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특히 아마존의 기술 전문가인 AWS 앰배서더 임지훈, 최성우 AI 리서치 엔지니어가 연사로 나서 주목받았다. GS네오텍 자체 인력인 두 앰배서더는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들이 생성형 AI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했다. 세미나에서는 △아마존 베드록 기반의 안정적인 AI 서비스 운영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최적화 △파이썬(Python) REPL 환경을 이용한 AI 에이전트 자동화 및 외부 시스템 연동 △LLM 애플리케이션의 아마존 베드록 이전 시 성능 및 비용 문제 해결 방안 등 실무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집중했다. GS네오텍은 프롬프트 캐싱, 비용 추적, REPL 자동화 등 실제 기술 적용 사례를 통해 아마존 베드록의 다양한 기능을 기업 환경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전략을 제시했다. 서정인 GS네오텍 IT사업본부장은 “이번 세미나는 생성형 AI의 단순 소개를 넘어 기업의 실질적인 AI 전환을 돕기 위한 자리였다”며 “아마존 베드록 기반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업 고객의 AI 혁신 파트너로서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세미나의 바탕이 된 기술 서적 『Amazon Bedrock으로 시작하는 실전 생성형 AI』는 주요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할 수 있다. GS네오텍은 AI, 클라우드, CDN 등 ICT 분야 전문 기업으로 생성형 AI 기반 B2B 디지털 전환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2025-04-08 09:15:1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정자원 화재] 국토부, '하도급지킴이' 장애에 공사대금 지급 예외 허용 추진
2
새마을금고 알짜카드 'MG+S 하나카드' 다음달 신규 발급 종료
3
"근로자도 안전의무 위반 시 제재 필요"…건설안전특별법 논의 확산
4
국정자원 화재,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서 발화...화재 발생 원인 '촉각'
5
강태영號 농협은행, 디지털 기반 체질 개선 속도…건전성 지표 '파란불'
6
'행정부판 카카오 사태', 예산에 막힌 정부의 '절반짜리' 재난 대비
7
[국정자원 화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재개…66조원대금 지급 정상화
8
카톡 업데이트 총괄 홍민택 CPO, 사내 공지로 '진화' 나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국장 칼럼] '국빈 일정' 사전 노출이 남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