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30 화요일
맑음
서울 18˚C
맑음
부산 21˚C
흐림
대구 21˚C
맑음
인천 19˚C
맑음
광주 17˚C
구름
대전 22˚C
맑음
울산 18˚C
흐림
강릉 18˚C
맑음
제주 2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은행대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4
건
6월 은행대출 연체율 0.12%p '뚝'…연체채권 정리 확대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6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소폭 내려간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2%로 전월 말(0.64%) 대비 0.12%p 하락했다.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8000억원으로 전월(3조5000억원) 대비 7000억원 감소했고,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5조7000억원으로 전월(1조7000억원)과 비교해 4조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규연체율은 0.11%로 전월(0.14%) 대비 0.03%p 하락했다. 금감원은 신규발생 연체채권이 감소하고, 상·매각 등 정리규모가 확대되면서 연체율이 전월 말 대비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부문별로는 6월 말 기업대출 연체율이 0.60%로 전월 말(0.77%) 대비 0.17%p 하락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14%)과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74%)은 전월 말보다 각각 0.01%p, 0.21%p 하락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 대비 0.06%p 내린 0.41%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0%로 0.02%p 하락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0.78%로 0.16%p 하락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취약부문을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연체율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08-29 09:08:04
보험사 주담대·신용대출 금리 소폭 하락...흥국화재·현대해상만 늘어
[이코노믹데일리] 보험사가 운영하는 대출상품의 금리가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준금리 인하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은 금리는 업계 전체적으로 감소한 반면 신용대출에서는 흥국화재·삼성생명의 금리가 상승했다. 18일 생명·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보험사는 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소득증빙·무증빙) 상품을 판매 중이다. 지난 6월 기준 각 상품의 평균 금리는 △주택담보대출 4.53% △신용대출(소득증빙) 7.74% △신용대출(소득무증빙) 9.02%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소득무증빙형 신용대출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0.22%p·0.1%p 감소한 반면 소득증빙형 신용대출 금리는 0.09% 증가했다. 특히 9% 수준을 유지하던 손보사의 소득무증빙형 신용대출 금리는 8.99%까지 하락했다. 주담대 금리가 가장 높은 보험사는 푸본현대생명으로 5.48%를 기록했다. 타 보험사의 금리는 △흥국생명 4.69% △현대해상 4.74% △교보생명 4.69% △삼성화재 4.58% 순이었다. 같은 기간 16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단순 평균은 4.05%로 보험사 금리가 0.51%p 높았으며 삼성생명(4.09%), NH농협손해보험(4.04%) 등 몇몇 보험사는 은행권 평균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보험사가 판매하는 신용대출은 소득증빙형·무증빙형으로 나뉜다. 소득증빙형은 원천징수영수증·건강보험료 납입증명서 등을 통해 소득을 확인 후 제공하는 대출, 무증빙형은 보험료 납입, 신용점수 등의 정보만 확인하는 대출로 중·저신용자들의 수요가 높은 무증빙형의 금리가 높게 책정된다. 소득증빙형 신용대출 금리는 한화생명이 가장 높은 8.98%를 삼성생명은 업계 최저 금리인 6.58%를 기록했다. 타 보험사는 △흥국생명 7.92% △삼성화재 7.74% △교보생명 7.47%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무증빙형 금리는 흥국화재가 9.96%로 가장 높았으며 △교보생명 9.91% △현대해상 9.41% △미래에샛생명 9.28% 등이 뒤를 이었다. 타 보험사는 8.14%로 최저 금리를 기록한 KB손해보험을 제외하고 8% 후반대 금리를 유지했다. 대부분 보험사의 평균 금리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흥국화재·현대해상의 금리는 각각 0.61%p·0.89%p 올랐다. 소득무보증형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권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주택담보대출과 달리 같은 기간 은행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 5.38%보다 3.64%p 높았으며 전체 보험사가 은행권 평균보다 높은 금리를 기록했다. 여신전문금융사(카드·캐피탈)의 최고 신용 점수 구간(900점 이상) 평균 금리 12.5%보다는 3.48%p 낮은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준 금리 인하로 시장 금리가 전체적으로 인하 추세를 보이면서 보험사 대출 상품 금리가 낮아졌다"며 "차주 상황에 따라 금리가 다르게 책정될 수 있어 고객별로 확인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2025-08-13 06:50:00
5월 은행대출 연체율 0.64%…전월比 0.07%p 상승
[이코노믹데일리] 지난 5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소폭 증가했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64%로 전월 말(0.57%) 대비 0.07%p 상승했다. 신규연체 발생액이 3조5000억원으로 전월(2조9000억원)보다 6000억원 늘었으며,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7000억원으로 전월과 유사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77%로 전월 말 대비 0.09%p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15%)은 0.02%p,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95%)은 0.12%p씩 각각 증가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7%로 전월 말보다 0.04%p 올랐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연체율은 0.32%로 0.02%p 상승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0.94%)은 0.08%p 증가했다. 신규연체 증가로 5월 중 연체율 상승 폭이 전월보다 확대됐다는 게 금감원 분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연체·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인 채무조정을 유도하겠다"며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및 손실 흡수능력 확충 등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7-25 14:05:39
3월 은행 대출 연체율 하락 전환…연체채권 정리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지난 3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전월 대비 하락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늘면서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3%로 전월 말 대비 0.05%p 하락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0.10%p 상승한 수치다. 3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3조원으로 전월 대비 1000억원 증가했지만,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4조1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3000억원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같은 기간 신규연체율은 0.12%로 전월과 같았고, 기업대출 연체율은 0.62%로 전월(0.68%)보다 0.06%p 하락했다. 부문별로 보면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1%로 전월말 대비 0.01%p 상승했다. 반면 중소기업대출(0.76%), 중소법인(0.80%), 개인사업자대출(0.71%) 연체율은 전월 말 대비 각각 0.08%p, 0.10%p, 0.05%p씩 줄었다. 가계대출에선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29%)은 전월 말과 같았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0.79%로 전월 말보다 0.10%p 하락했다. 금감원은 신규연체 증가에도 불구하고 분기 말 연체채권 정리 확대 등 영향으로 3월 연체율이 전월보다 하락했으나,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연체율이 지속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적극적인 연체채권 정리 및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로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는 한편, 연체 우려 차주 등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05-21 11:44:0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정자원 화재] 국토부, '하도급지킴이' 장애에 공사대금 지급 예외 허용 추진
2
새마을금고 알짜카드 'MG+S 하나카드' 다음달 신규 발급 종료
3
"근로자도 안전의무 위반 시 제재 필요"…건설안전특별법 논의 확산
4
업비트 '기와' vs 위메이드 '스테이블 원'…'원화 스테이블코인' 패권, 승자는
5
국정자원 화재,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서 발화...화재 발생 원인 '촉각'
6
네이버,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자회사로 편입…주식교환 추진
7
건설사, 사망사고 속출에 뒤늦은 CSO 격상…정부 대책은 여전히 '추진 단계'
8
'행정부판 카카오 사태', 예산에 막힌 정부의 '절반짜리' 재난 대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금융권 총파업, '1억 연봉' 앞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