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07 수요일
맑음
서울 15˚C
흐림
부산 15˚C
흐림
대구 21˚C
맑음
인천 13˚C
구름
광주 12˚C
흐림
대전 13˚C
흐림
울산 13˚C
흐림
강릉 13˚C
맑음
제주 1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유기발광'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삼성SDI, 1분기 4천억 적자…"2분기 저점 통과 기대"
[이코노믹데일리] 삼성SDI가 올해 1분기 매출 3조1768억 원, 영업손실 4341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분기 2145억원이었던 영업이익이 지난 분기 영업손실 2567억원으로 하락한 데 이어 적자 폭이 1774억원 추가 확대된 것이다. 25일 삼성SDI는 컨퍼런스콜을 열고 1분기 사업실적을 발표했으며 오는 2분기 전망과 경영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먼저 배터리 부문 매출은 2조980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4.9%, 전분기 대비 16.4%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4524억원을 기록했다. 삼성SDI 관계자에 따르면 전기차 및 전동공구용 배터리 분야에서 주요 고객의 재고 조정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으며 가동률 하락과 고정비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195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6.4% 감소했으나 전분기와 비교하면 3.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83억원으로 집계됐다.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소재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나며 매출이 소폭 증가하고 수익성이 개선된 덕이다. 이번 분기 주요 성과로는 미국 내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 조기 가동을 통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양산 개시를 꼽았다. 또한 오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GM과의 합작법인 건설 공사를 개시했으며 이에 따라 미국 내 생산 거점 운영을 본격화해 각형 배터리 공급체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그룹과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제품 경쟁력 우위 확보에도 나섰다. 삼성SDI는 오는 2분기부터는 전방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면서 실적도 차츰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최근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요 변동성이 확대될 거라 전망했다. 삼성SDI는 최근 전기차 부문에서 주요 OEM들의 재고 조정이 마무리되고 CO² 규제 및 전기차 지원 정책이 시행되는 유럽을 중심으로 수요가 회복되고 있어 이 같은 수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전고체 배터리의 업그레이드 샘플을 준비하는 등 미래 성장을 위한 준비를 이어가면서 본격적인 수주 확보에도 나설 계획이다. 각 사업 부문에 대한 전망과 사업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ESS 부문은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및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대에 따라 성장이 지속되며 국내 프로젝트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소형 배터리 부문은 AI 데이터센터 증가에 따라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배터리 백업 유닛(BBU)용 제품 판매를 확대해 모바일 기기 관련 매출과 수익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전자재료 부문은 반도체와 OLED 소재의 수요가 견조하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반도체 패터닝 소재와 폴더블 OLED용 소재 등 고부가 제품 중심의 판매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안전성과 고에너지밀도를 갖춘 전력용 삼성 배터리 박스(SBB)와 UPS용 고출력 배터리 판매를 확대하고 국내 전력망 안정화 프로젝트에도 적극 참여해 높은 성장세를 이어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날 발표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선 헝가리 공장 가동률이 낮은 상황에서도 증설을 감행하는 이유와 유상증자 발행 확정가액이 기존 계획보다 낮아진 점에 대해서도 답변이 이어졌다. 박종선 삼성SDI 부사장은 "이차전지 투자는 최소 2~3년의 긴 호흡에서 이어져야 한다"며 "헝가리 공장 증설은 기존 주력 제품인 각형 하이니켈 뿐만 아니라 리튬인산철(LFP), 46파이 등 신규 제품에 대한 선제적인 확장을 목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상증자와 관련해서도 중장기적인 계획 하에 안정적인 투자를 위한 선제적인 조치에 가깝기 때문에 조달 규모가 일부 축소되더라도 투자 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삼성SDI 관계자는 "오는 2분기 역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지만 실적은 1분기를 저점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며 "실적 개선을 추진하는 동시에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준비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4-25 15:59:56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판매량 늘린다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탑재 최신 모니터[사진=삼성디스플레이]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디스플레이가 모니터용 QD-OLED 판매 확대에 나섰다. 24일 삼성디스플레이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모니터용 QD-유기발광 다이오드(QLED) 출하량이 지난해 실적 143만대 보다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높은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량을 늘리고 있다고 지난 23일 밝혔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는 좋은 성능의 신제품을 통해 기술 우위를 점할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 초 모니터용 27형 UHD(3840x2160) 제품을 출시했다. 해당 제품은 기존 27형 제품에서는 보기 힘든 선명한 화질이 특징이며 픽셀 밀도가 160PPI(Pixel Per Inch, 1인치당 픽셀 수) 이상으로 자발광 게이밍 모니터 중 가장 높다. 올해 상반기 중 출시할 27형 QHD(2560x1440) 제품도 프리미엄 모니터 시장의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제품은 현존하는 자발광 모니터 중 가장 높은 500Hz 주사율을 지원하며 고주사율의 모니터가 자발광 디스플레이의 고유한 특성인 빠른 응답속도(0.03ms 수준)와 만나 화면 전환이 빠르고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화면을 즐길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고객들의 높은 수요를 바탕으로 일반소비자용, 기업용 등 제품 라인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정용욱 삼성디스플레이 대형디스플레이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은 "고객과 소비자들의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혁신과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24 09:29:59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KISA, SKT 해킹 관련 악성코드 8종 추가 발견… SKT '조사 중 사안'
2
성남지역 새마을금고, 1700억 부당대출 사고 발생
3
배터리 패권 경쟁 속 韓中 동맹 시동… 에코프로비엠, CATL과 협력 추진
4
현대엔지니어링, 43년 만에 사명 변경 추진…"신뢰 회복 위한 전면 쇄신"
5
이창용 한은 총재 "환율 하단 판단 일러…변동성 대응 중요"
6
[단독]지역 농협 부실채권 '폭탄'…추정손실 6500억원 돌파, 사실상 손실 방치
7
[유통가 사모펀드 쇼크] ④ 사모펀드 규제,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8
한수원, 체코 원전 계약 서명 또다시 '빨간불'…법원 제동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