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1 화요일
맑음
서울 14˚C
맑음
부산 16˚C
맑음
대구 15˚C
맑음
인천 13˚C
흐림
광주 14˚C
흐림
대전 13˚C
맑음
울산 14˚C
맑음
강릉 12˚C
맑음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부광약품, CNS 사업 '미래 성장 축'으로 육성…신경질환 치료제 매출 급증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제약사 부광약품이 연이은 실적 개선과 신약 개발에 힘입어 중추신경계(CNS) 분야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본격 육성하고 있다. 특히 신경정신질환 치료제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며 포트폴리오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22일 부광약품에 따르면 3분기 CNS 사업본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4% 성장하며 회사 전체 실적을 견인하는 핵심축으로 떠올랐다. CNS 사업본부는 지난해 대표이사 직속으로 신설돼 부광약품의 미래 전략 사업으로 설정됐으며 정신질환·파킨슨병 등 신경계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있다. 대표 제품인 라투다는 출시 1년 만에 누적 판매 1000만정을 돌파하며 시장 안착에 성공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CNS 파이프라인 구축에 힘쓰고 있다. 자체 개발 중인 파킨슨병 치료제 BUK-001는 BBB 투과시험과 in-vivo 효력 및 독성시험을 거쳐 후보물질 도출을 2026년 상반기로 예상하고 있다. 덴마크 자회사 콘테라파마를 통해 개발 중인 파킨슨 아침무동증 치료제 CP-012는 임상 1b상에서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확보하며 후속 임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해당 임상은 약학신티그래피(Pharmacoscintigraphic) 기법을 기반으로 진행됐으며 CP-012의 지연 방출 제형이 야간 부동성과 아침 무동증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했다. 또한 방출 시점과 체내 흡수 경로를 영상 기반으로 분석해 안정성과 내약성을 입증했다고 회사측은 말했다. 이외에도 CP-102(카나반병 치료제)는 현재 전임상 단계에 있으며 콘테라파마는 이를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기반 치료제로 개발 진행 중이며 글로벌 제약사 룬드벡과 RNA 기반 신경질환 치료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해외 협력도 강화에도 나섰다. 이처럼 부과약품이 CNS 구축에 강력히 나서는 배경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고령화와 함께 정신건강 질환 증가로 CNS 치료제 수요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NS 시장은 2029년까지 약 310억 달러(약 40조원) 성장해 전체 매출이 1850억 달러(약 240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부광약품 관계자는 “현재 라투다는 상급종합병원 47처 중에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합병원과 의원에서도 처방수가 크게 증가하며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보여줬다”며 “이는 부광약품이 CNS 치료제 시장에서 입지를 확실히 다질 수 있음을 보여준 상징적인 사례로 라투다 발매 3년차에는 점유율 1위를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콘테라파마를 중심으로 향후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파트너십을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RNA 기반 치료제와 같은 혁신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5-10-22 16:05:57
에스티팜, 제2 올리고동 준공…글로벌 Top CDMO 도약 가속
[이코노믹데일리] 에스티팜이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생산 역량을 대폭 확충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25일 에스티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올리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한 435억원 기록했다. 특히 고지혈증 치료제에서 90억원, 혈액암 치료제 220억원, 척수성근위축증 치료제 61억원을 달성했으며 설비 사용 수수료도 23억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임상용 품목 출하가 4분기에 집중돼 있는 만큼 3분기까지는 상업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매출 성장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더불어 6월 말 기준 수주 잔고도 약 3200억원에 달해 중장기 성장세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에스티팜은 지난 22일 경기도 시흥 반월공장에서 제2 올리고동 준공식을 열고 향후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증설로 올리고 생산 능력은 하반기부터 30% 이상 확대되며 생산 효율성 개선 효과까지 반영될 경우 향후 매출 성장 폭은 시장 기대치를 웃돌 가능성이 크다. 회사는 2027년까지 추가 증설도 추진해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에스티팜은 2026년을 기점으로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성장세를 가시화할 전망이다. 회사가 제시한 핵심 과제는 △저분자화합물 API CDMO(위탁개발생산) 포트폴리오 다변화 △올리고 API CMO(위탁생산) 확대 △자체 신약 성과 △mRNA/LNP 상업화 등 네 가지다. 이에 유지투자증권은 저분자화합물 API CDMO의 경우 HIV·HCV 치료제 공급 경험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와의 신뢰를 확보한 만큼 이러한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와 파트너십 다변화가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API CMO 부문에서는 RNA 치료제가 희귀질환에서 고지혈증 치료제 렉비오와 트린골자 등 대사질환 영역으로 확장되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스티팜의 생산 능력 증설 효과가 본격 반영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자체 신약 파이프라인인 HIV 치료제 후보물질 STP-0404는 현재 글로벌 임상 2a상을 진행 중이며 중간 데이터는 오는 10월 미국에서 열리는 'ID Week 2025'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이후 기술이전 협상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단순 위탁생산을 넘어 자체 신약 개발 성과가 부각될 경우 기업가치 제고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고 업체 측은 말했다. 아울러 mRNA/LNP 사업은 백신과 치료제 개발 수요에 맞춰 포뮬레이션 및 자산개발 프로그램(ADP)을 확장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상업화와 신규 프로젝트 확대가 가시화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에스티팜은 고객사인 글로벌 신약 개발사들의 요구에 맞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Global Top Solution Provider’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는데 이는 단순한 CMO 역할을 넘어 신약 공동개발·기술이전까지 아우르는 포트폴리오 확장을 의미한다. 권해순 유지투자증권 연구원 "RNA 치료제 시장의 확대에 따른 수주 증가, 신약 개발 성과 가시화, 글로벌 Top CDMO로서 경쟁력 감안 시 중장기적으로 기업가치의 지속적 상승이 예상된다"며 "에스티팜에게 4분기는 실적 모멘텀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단순 CDMO를 넘어 자체 신약 개발과 신기술 확보까지 병행하는 전략은 에스티팜의 중장기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2025-09-25 15:01:44
HLB파나진, 'TIDES USA 2025'서 암 억제 효능 30배 향상된 PNA 기술 발표
[이코노믹데일리] HLB파나진은 19일(현지시간)부터 22일까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펩타이드 치료제 콘퍼런스 ‘TIDES USA 2025’에 참가해 최신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20일 HLB파나진에 따르면 이번 콘퍼런스 발표 내용은 새로운 형태의 변형 PNA(펩타이드 핵산) 기술로 비소세포폐암 세포에서 암 관련 miRNA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관련 유전자 발현을 회복시키는 결과를 담고 있다. 특히 ‘감마 변형 PNA(gamma-amino carboxylic acid PNA)’를 통해 기존 대비 약 30배 향상된 억제 효능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PNA 구조와 생물학적 활성을 연결짓는 구조-활성 상관관계(SAR) 데이터를 제시한 점에서 학계와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PNA는 높은 안정성과 정확한 염기서열 결합력을 가진 인공 핵산으로 진단 분야에서 이미 활용되고 있으며 치료제로서도 잠재력이 크다. 하지만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사례는 없고 임상 진입 사례도 드물다. 박재진 HLB파나진 연구소장은 "이번 포스터 발표를 통해 PNA의 변형 가능성과 이를 통한 확장성이 사실상 무한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논문 발표와 후속 연구를 통해 진단을 넘어 유전자 치료 분야로 영역을 넓히겠다"고 말했다. TIDES USA는 세계 최대 규모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펩타이드 치료제 콘퍼런스로 매년 약 2000명의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들과 170여개 기업들이 참여한다. 올해도 론자(Lonza), 듀폰(DuPont) 등 글로벌 기업들도 대거 참가해 차세대 치료제 개발 전략과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했다.
2025-05-20 11:17:2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효성 리스크 해소됐는데...효성화학이 그룹 발목잡나
2
[단독] 조현준 효성 회장 '아픈손가락' 진흥기업...경영실패 드러나나
3
포스코DX, 포항제철소 불산 누출 사망사고에 '늑장신고' 논란…심민석 대표 "재발 방지" 공식 사과
4
'토종 SW 자존심' 더존비즈온, 외국 자본에 넘어갔다…김용우 회장, '먹튀' 비판
5
효성家 베트남 사업서 형제간 명암 엇갈려
6
BC·하나카드 등 스테이블코인 '시동'...업계 "방향성 여전히 불투명"
7
이재용의 '뉴삼성' 시동...정현호 용퇴·TF팀 해체 "대대적 쇄신 예고"
8
KT 해킹, '펨토셀'이 암호화 뚫었다…문자·통화까지 노출 우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합의 뒤집고 공사 멈춘 현대건설, 판결이 던진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