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4건
-
경쟁국 AI 투자 늘리는데 韓은 뒷걸음…투자 규모 순위 9위→11위
[이코노믹데일리]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AI 모델이 전 세계를 강타한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술 격차가 1년 만에 크게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의 AI 투자는 오히려 감소하며 글로벌 순위가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인간중심AI연구소(HAI)가 7일(현지시간) 발표한 'AI 인덱스 보고서 2025'에 따르면 AI 성능 평가 플랫폼 'LMSYS 챗봇 아레나'에서 미국과 중국 최고 AI 모델 간 성능 차이는 지난 2월 1.7%로 좁혀졌다. 이는 2023년 1월 9.3%에서 1년 만에 급격히 감소한 수치다. 지난 2월 성능 평가에서 미국 최고 AI 모델로 꼽힌 구글은 1385점을 중국 최고 모델인 딥시크는 1362점을 기록했다. 오픈AI의 챗GPT는 1366점으로 구글에 근소하게 뒤쳐졌다. 특히 딥시크는 지난해 5월 '딥시크 V2'를 출시하며 미국과의 격차를 좁히기 시작했고 9월 오픈AI가 추론 모델 'o1'을 출시하며 잠시 격차가 벌어지는 듯했으나 지난 1월 딥시크가 'RI' 모델을 선보이며 다시 격차를 좁혔다. 대규모 멀티태스크 언어 이해 능력 평가(MMLU)에서도 미·중 격차는 2023년 말 17.5%에서 2024년 말 0.3%로 줄었다. 과학, 예술, 엔지니어링 등 범용인공지능(AGI) 기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MMMU) 격차는 같은 기간 13.5%에서 8.1%로 감소했다.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은 24.3%에서 1.6%로 다국어 코드 생성 능력 평가는 31.6%에서 3.7%로 격차가 크게 줄었다. 보고서는 딥시크의 'R1' 모델에 대해 "일반적으로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의 일부만으로 최고 수준의 성능을 달성했다"고 평가하며 "이는 미국 증시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 효과에 대한 의문도 제기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출시된 주요 AI 모델 수에서도 중국은 15개로 미국(40개)과의 격차를 줄였다. 2022년에는 미국이 70개, 중국이 20개였던 것에 비해 격차가 크게 좁혀진 것이다. 프랑스는 3개, 한국, 캐나다,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는 각 1개의 모델을 출시했다. 기업별로는 구글과 오픈AI가 각각 7개의 모델을 출시했고, 알리바바(6개), 애플·메타·엔비디아(각 4개)가 뒤를 이었다. AI 투자에서는 미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했으나 한국은 투자 감소와 함께 순위가 하락했다. 지난해 미국의 AI 민간 투자액은 1098억8000만 달러(약 161조8000억원)로 중국(92억9000만 달러)의 10배를 넘어섰다. 미국은 전년 대비 63% 증가, 중국은 28% 증가하며 격차가 소폭 확대됐다. 반면 한국의 AI 투자는 13억3000만 달러로 전년(13억9000만 달러) 대비 감소하며 투자 규모 순위가 9위에서 11위로 하락했다. 한편 2023년 컴퓨터 과학(CS) 분야 논문 수에서 중국은 미국을 크게 앞질렀고 AI 특허 점유율에서도 69.7%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AI 특허 승인 건수는 한국이 17.27건으로 룩셈부르크, 중국, 미국보다 높았다. 다만 한국은 AI 인재 유출 부문에서 2022년 3위, 2023년 5위를 기록하며 인재 유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AI에 대한 낙관론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지만 국가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서는 AI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는 반면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 등에서는 낙관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2025-04-08 08:06:28
-
-
SK텔레콤, '에이닷'에 구글 '제미나이' 최신 탑재…AI 에이전트 경쟁력 강화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은 자사의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서비스 ‘에이닷(A.)’에 구글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제미나이(Gemini) 2.0 플래시(Flash)’를 새롭게 적용하며 AI 기능 강화에 나섰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에이닷 이용자들은 SKT의 ‘A.X’를 비롯해 ‘GPT’, ‘클로드(Claude)’, ‘퍼플렉시티(Perplexity)’, 그리고 ‘제미나이’까지 총 5개의 글로벌 AI 서비스와 그 하위 모델들을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이용자들에게 더욱 폭넓은 AI 모델 선택지를 제공하고 개인의 사용 목적과 선호도에 따라 최적의 AI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현재 에이닷에서 이용 가능한 AI 모델은 자체 개발 모델인 ‘A.X’를 포함하여 △제미나이 2.0 플래시 △GPT 4o, 4o mini, o3-mini, o1-mini, o1-preview 등 5개 모델 △클로드 3.5 Sonnet, 3.5 Haiku, 3 Opus 3개 모델 △퍼플렉시티 Sonar, Sonar Pro 2개 모델 등 총 12개에 달한다. 새롭게 추가된 ‘제미나이 2.0 플래시’는 구글이 지난 2월 공개한 최신 AI 모델로 기존 ‘1.5 플래시’ 모델의 성능을 개선한 버전이다. 특히 응답 속도와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주요 AI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1.5 프로’ 모델보다 2배 빠른 속도를 기록하는 등 뛰어난 성능을 입증했다. 이용자들은 ‘제미나이 2.0 플래시’를 통해 질문에 대한 답변과 함께 구글의 실시간 검색 결과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으며 답변의 출처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는 기능도 활용 가능하다. SKT는 “향후에도 구글의 최신 LLM을 지속적으로 에이닷에 도입하여 고객들에게 최첨단 AI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T는 이달 초에도 에이닷의 AI 모델 라인업을 강화한 바 있다. ‘퍼플렉시티’의 최신 모델인 ‘퍼플렉시티 소나 프로(Sonar Pro)’와, 복잡한 논리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난 ‘GPT o3-mini’ 모델을 추가하며 AI 에이전트 서비스의 성능을 꾸준히 향상시키고 있다. ‘퍼플렉시티 소나 프로’는 기존 ‘소나’ 모델 대비 2배 많은 검색 출처를 활용하여 답변의 신뢰도를 높였으며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하고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더욱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 ‘GPT o3-mini’ 모델은 고난도 수학 문제 풀이, 프로그래밍 코드 생성 등 전문적인 영역에서 강점을 보인다. SKT는 이처럼 다양한 AI 모델을 에이닷에 지속적으로 추가함으로써 고객들이 더욱 풍부하고 만족스러운 AI 에이전트 경험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에이닷은 모바일 앱뿐만 아니라 PC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이용 가능하여 고객들은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AI 에이전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더불어 에이닷은 이용자가 여러 AI 모델을 손쉽게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11개의 AI 모델(‘제미나이’는 ‘다른 AI 비교하기’ 기능에서 제외) 중에서 원하는 모델을 선택하여 답변을 얻을 수 있으며 ‘다른 AI 비교하기’ 기능을 통해 동일한 질문에 대한 여러 모델의 답변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모델을 변경하여 후속 대화를 이어갈 경우 이전 대화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진행하는 ‘교차 대화’ 기능도 지원한다. 김용훈 SKT 에이닷사업부장은 “에이닷은 SKT의 A.X 모델부터 챗GPT, 제미나이까지 글로벌 핵심 AI 모델들을 한 곳에서 직접 비교하며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AI 모델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AI 편의 기능을 추가하여 고객들의 AI 에이전트 체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성을 극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5-03-18 10:19: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