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8 월요일
맑음
서울 20˚C
흐림
부산 24˚C
흐림
대구 21˚C
맑음
인천 23˚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1˚C
흐림
울산 23˚C
흐림
강릉 21˚C
흐림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수수료수익'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국내 증권사, 올 2분기 순이익 2.85조원…전년比 60%↑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2분기 국내 증권사들의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0% 급증한 2조 8502억원을 기록했다. 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2분기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국내 60개 증권사의 2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순이익 2조8502억원은 전분기 대비 4074억원(16.7%), 전년 동기 대비 1조 683억원(60.0%) 증가한 규모다. 2분기 증권사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1%로 전분기 대비 0.4%포인트(p), 전년 동기 대비 1.0%p 상승했다. 이는 우호적 증시 환경에 힘입어 수수료 수익과 외환관련 손익, 대출관련 손익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결과로 분석된다. 주요 수익 항목별 실적을 살펴보면 증권사 수수료 수익이 3조8507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4861억원(14.4%)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수탁수수료가 1조9037억원, IB부문 수수료가 1조809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분기 대비 17.6%와 14.5% 늘었다. 자기매매손익은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한 3조2444억원으로 집계됐다. 기타자산손익은 5448억원 증가한 1조7783억원을 나타냈다. 대출관련 손익은 1조708억원, 외환관련 손익은 7075억원을 기록했다. 판매관리비는 3조5189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428억원 늘었다. 지난 6월 말 기준 증권사 자산총액은 851조7000억원으로 3월 말 대비 53조2000억원(6.7%) 증가했다. 부채총액은 49조6000억원(7.0%) 늘어난 755조2000억원을 기록했으며 자기자본은 3조6000억원(3.9%) 증가한 96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권사 평균 순자본비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835.6%를 기록했다. 모든 증권사의 순자본비율이 규제비율(100% 이상)을 상회했다. 평균 레버리지비율은 666.4%로 모든 회사가 규제비율(1100% 이내)을 충족하는 등 건전성 지표도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2분기 선물회사 3사의 당기순이익은 225억3000만원으로 전분기 대비 20억원(9.7%) 증가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소폭 감소했다. 자기자본이익률은 3.1%를 기록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선물회사 3사의 자산총액과 부채총액은 각각 6조2894억원, 5조5265억원으로 3월 말 대비 각각 1.6%, 1.3% 늘었다. 자기자본은 3.9% 증가한 7629억원을 나타냈다. 6월 말 기준 평균 순자산비율은 1558.0%로 3월말 대비 69.6p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우호적 증시환경 등으로 수수료수익과 대출·외환관련 손익 등이 증가했다"며 "증시 활성화 기대 등에 따른 주식거래대금 증가에 힘입어 수탁수수료 위주로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실적이 개선됐다"고 말했다.
2025-09-04 08:00:27
키움증권, 올 1분기 영업익 3255억원…전년比 3.62%↓
[이코노믹데일리] 키움증권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2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2%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660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8.46%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2356억원으로 3.77% 줄었다. 실적 감소는 수수료 하락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주식 수수료 수익은 같은 기간 895억원에서 737억원으로 17.7% 감소했으며, 기업금융(IB) 수수료수익은 544억원에서 570억원으로 소폭 늘었다. 같은 기간 이자손익은 1664억원에서 1748억원으로 운용손익은 945억원에서 980억원으로 증가했다. 키움증권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증가에도 불구 영업이익과 순이익 소폭 감소는 판관비 증가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판관비는 작년 1분기 1303억원에서 올해 1분기 1594억원으로 22.3% 증가했다.
2025-04-30 10:07:24
IB에 힘주는 '메리츠證'…6호 초대형 투자은행 차지할까
[이코노믹데일리] 메리츠증권이 올해 들어 적극적으로 기업금융(IB) 경쟁력을 강화하며 새로운 행보를 보인다. 올해 금융당국이 초대형 투자은행 지정을 예고하면서 메리츠증권이 IB 부문에서 제2의 전성기를 맞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14일 메리츠금융그룹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의 지난해 순영업수익 중 IB 수익은 전년 대비 60% 증가한 3794억원으로 집계됐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IB 부문은 사업성이 우수한 양질의 빅딜을 통해 수수료수익이 증가했고 전년 국내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자산 손상반영의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우수한 실적을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메리츠증권의 IB 실적은 최근 5년간 △2020년 4080억원 △2021년 5328억원 △2022년 4558억원 △2023년 2375억원 △2024년 3794억원을 기록했는데 지난 몇년간 주춤하는 모습이다. 이에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말부터 부동산과 인수금융에 특화돼 두각을 보이지 않았던 IB 부문을 적극적으로 보강하고 나섰다. 투자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 메리츠증권은 이경수 브레인자산운용 대체투자부문 대표(전무)를 기업금융본부 산하 주식발행시장(ECM) 담당 임원으로 영입했다. 이 대표는 지난 1998년부터 삼성증권 IB본부에서 근무했고 2016년부터 7년간 KB증권 ECM3부 부서장을 역임했다. 또 지난 1월 정영채 전 NH투자증권 대표를 메리츠증권 IB 부문 상임고문으로 영입했고 올해 신설된 기업금융본부에 송창하 전 NH투자증권 신디케이션본부장을 전무로 임명했다. 메리츠증권 김종민 대표도 지난 2월 열린 실적발표에서 IB 부문 확장 전략에 "최고의 프라이싱 능력, 신속한 딜 클로징 역량, 확충된 체력을 바탕으로 IB 부문으로 영역을 넓히는 것이 전반적인 IB 사업의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완성하는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기존 사업의 강점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인재 영입, 메리츠 DNA가 녹아있는 IB 비즈니스 플랫폼의 본격 가동을 통해 향후 성장이 예상되는 기업금융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창출해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소정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최근 메리츠증권이 리테일 강화, 전통 IB 부문 강화 노력 등 사업전략 변화 계획이 발표되어 이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며 "다만 금융시장 변동성이 높고 국내외 부동산금융 관련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 점, IB 부문 이익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점을 고려하면 이익변동성이 내재돼 있다"고 분석했다. 메리츠증권이 기업금융 외연을 확장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초대형 투자은행 지정을 예고하면서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원회는 이달 9일 '증권업 기업금융 제고 방안'을 발표하며 연내 초대형 투자은행을 신규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인가받을 경우 자기자본의 2배까지 발행어음을 발행할 수 있어 자금 확보에 유리하다. 확보된 자금으로 기업금융을 확장해 수익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초대형 투자은행에 지정된 곳은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이다. 초대형 IB 조건(자기자본 4조원)을 충족한 메리츠증권은 초대형 IB 지정 신청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작년 3분기 실적발표에서 지정 신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2025-04-14 18:13:3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정부, 부동산 대책 곧 발표… 보유세 강화는 제외
3
슈카월드가 쏘아올린 '빵값 논쟁'…가격 형성 핵심 요인은
4
[단독] 업비트, '2025 LCK' 공식 후원…e스포츠 팬심 정조준
5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6
[K-제약, 뷰티 트렌드①] '먹는 화장품 시대'...제약업계, 신성장 동력으로 이너뷰티 선택
7
인천공항사고로 드러난 공기업산재 실태… 이학재사장 책임론 확산
8
삼성전자·LG전자, 로봇청소기 보안 이끌지만…국내 제도는 여전히 미비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