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142건
-
-
-
-
-
-
-
-
-
"어린이 주목"…유안타·미래·키움증권, 이벤트 운영
※ 고금리·고환율·고물가 삼중고로 한푼 두푼 아끼는 것이 간절한 지금, '김광미의 光테크'에서 여러분의 재테크가 빛날 수 있도록 투자 방법을 알차게 모았습니다. 한 주 동안 전해진 알짜배기 중에서도 알짜배기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편집자주] [이코노믹데일리] 주요 증권사들이 이달 가정의 달을 맞아 상품 및 현금을 지급하거나 수수료를 면제하는 등 여러 이벤트로 미성년자 및 가족 고객 잡기에 나섰다. 4일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오는 23일까지 가정의달을 맞아 주식 선물하기 서비스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조르면 선물주지 이벤트'를 실시한다. 주식 선물하기 서비스는 가족과 지인에 국내·미국 주식, 금 현물을 선물할 수 있는 기능이다. 먼저 5만원 이상 선물한 고객에게 케이크 교환권, 커피 교환권, 주식 쿠폰(5000원, 1만원, 2만원) 등 경품에 100% 당첨되는 룰렛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선물 받은 고객이 신규 고객일 경우 추가로 케이크 교환권을 증정한다. 또 이벤트를 카카오톡 친구 3명에 공유하면 커피 교환권을, 룰렛 이벤트와 카카오톡 친구 공유하기 모두 완료하면 추가로 커피교환권이 제공된다. 이벤트는 유안타증권 홈페이지나 홈트레이딩시스템(HTS) '티레이더',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티레이더M'에서 참여할 수 있다. 증권사들은 미성년자 신규 고객을 유치하고자 관련 이벤트도 내놨다. 미래에셋증권이 다음 달 30일까지 신규 미성년자(만 19세 미만) 고객을 위한 '우리 아이 부자 만들기' 이벤트를 진행한다. 비대면 다이렉트 주식계좌를 처음으로 개설한 뒤 15일 이내 웰컴 이벤트를 신청할 경우 2만원 현금을 지원한다. 또 해외주식 매수 금액구간별 △100만원 이상 1만원 △1000만원 이상 2만원 △1억원 이상 3만원 △3억원 이상 5만원 △10억원 이상 18만원 지원금을 제공한다. 추가로 국내·미국주식 온라인 수수료를 90일간 면제한다. 키움증권도 내년 1월 31일까지 '우리아이 비대면 계좌개설' 이벤트를 선보였다. 비대면 계좌를 개설한 신규고객에 국내주식 1주를, 100만원 이상 거래하면 최대 4주를 지급한다. 미국주식 첫 거래 시 33 달러를 지원하며 해외주식 환전·매수 수수료도 면제한다. 이벤트 관련 자세한 내용은 키움증권 홈페이지나 MTS '영웅문S#'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오는 15일까지 가정의 달을 기념해 'TIGER 상장지수펀드(ETF) 어린이 회원 대모집' 이벤트를 운영한다. 이벤트는 TIGER ETF △유튜브 채널 스마트타이거 구독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추가 △홈페이지 회원가입 중 하나를 완료한 뒤 캡처화면을 인증하고, 보호자인증, 신청서 응모 과정을 거쳐 참여할 수 있다. 추첨을 통해 TIGER ETF 어린이 회원 2000명을 선발해 마그네틱 카드, 호랑이 캐릭터 인형, 모자와 온라인 금융 교육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 경품을 수령한 뒤 소셜미디어서비스(SNS)나 블로그에 인증 후기를 올린 20명에 모바일 가족 식사권(20만원 상당)을 지급하는 SNS 인증 이벤트도 병행한다.
2025-05-04 05:09:00
-
-
-
일본, 빈집 급증에 '특별조치법' 개정…공공관리 확대·세제 혜택으로 대응
[이코노믹데일리] 일본 전역에서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화되며 방치된 빈집이 빠르게 늘고 있다. 관리되지 않는 빈집은 도시 미관을 해치고, 자연재해 시 안전에도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 HUG주택도시금융연구원 송기백 연구위원의 분석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 같은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빈집대책특별조치법’을 개정하고, 종합적인 정비·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지자체에 빈집 실태 조사 권한을 부여해 지역 내 위험 빈집을 선별하고 있다. 위험성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유자에게 ‘지도’와 ‘권고’를 통해 개선을 요청하고, 불응 시에는 ‘명령’을 내려 강제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했다. 최종적으로는 빈집을 철거하거나 행정 대집행에 나설 수 있는 근거도 마련됐다. 소유자가 불명확한 부동산에 대해서도 대응이 가능해졌다. 과거에는 소유권이 명확하지 않으면 지자체 개입이 어려웠지만, 최근 법령 정비를 통해 공공관리 절차가 명확해졌고, 위험 빈집에 대해서는 신속한 조치가 가능해졌다. 재정 지원도 강화됐다. 지자체가 빈집 정비 사업을 추진하면 보조금을 지급하고, 철거나 리노베이션 비용에 대해 세제 혜택도 제공한다.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고정자산세 감면 혜택을 적용해 자발적인 정비를 유도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빈집을 지역 활성화 자산으로 활용하려는 시도도 병행하고 있다. 단순 철거를 넘어, 커뮤니티 시설, 청년 주택, 관광 거점 등으로 용도를 바꾸는 방식이다. 이는 지방 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국토교통성 관계자는 “빈집 문제는 단순히 도시 미관이나 안전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존속과 직결된 과제”라며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고 종합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기백 연구위원은 “한국 역시 고령화와 지방소멸이 가속화되며 유사한 문제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일본 사례를 참고해 법제도 정비와 적극적인 정책적 개입, 지역 재생 자산으로서의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5-05-03 15:03:4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