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16 목요일
흐림
서울 24˚C
흐림
부산 21˚C
흐림
대구 20˚C
맑음
인천 23˚C
흐림
광주 21˚C
흐림
대전 21˚C
흐림
울산 21˚C
흐림
강릉 18˚C
흐림
제주 24˚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손정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韓기업 총수들·정부 협상단, 韓美 관세협상 '최종 타결' 막판 총력전
[이코노믹데일리]한국과 미국 간 관세 협상 최종 타결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민·관이 함께 막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별장으로 알려진 마러라고 리조트로 총출동하고, 정부 측에서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이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워싱턴D.C를 찾아 백악관을 방문한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들이 일본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의 초청을 받아 이날부터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위치한 마러라고 리조트를 찾는다. 이중 이 회장과 정 회장은 지난 15일 일본에서 열린 '한·미·일 경제대화(TED)' 참석 후 이날(16일) 미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회장과 구 회장도 한국에서 개별 출발할 예정이다.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의 주축인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도 곧 총수 대열에 합류할 예정이다. 한편 한미 통상협상을 매듭짓기 위해 정부 측 대미협상단이 현지시간으로 16일 백악관 관리예산국(The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OMB)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통상협상 최종 타결을 위해 미국 측 인사들을 두루 만나 지원 사격을 요청하는 차원으로 해석된다. 이를 위해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으로 출발했으며, 워싱턴D.C.에 도착하는 대로 곧바로 OMB를 찾아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15일) 워싱턴D.C.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 김 실장과 김정관 산자부 장관이 함께 방미길에 오르면서 이들과 함께 OMB 논의에 합류할 예정이다.
2025-10-16 16:05:12
오픈AI·소프트뱅크 '5000억弗 AI 투자' 차질…연내 소규모 데이터센터 1곳 그칠 듯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야심 차게 발표했던 5000억 달러(약 690조원) 규모의 인공지능(AI) 투자 사업이 시작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오라클이 손잡고 추진하는 이 프로젝트는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데이터센터 건설 계약을 한 건도 체결하지 못했으며 단기 사업 계획도 대폭 축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시간) 이 사업을 위해 설립된 합작사 '스타게이트'가 연말까지 미국 오하이오주에 소규모 데이터센터 1곳을 짓는 것으로 목표를 수정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3사는 올해 1000억 달러를 시작으로 2029년까지 총 5000억 달러를 투자해 중국을 제치고 AI 산업의 지배적 입지를 확보하겠다고 공언했으나 현실은 초라한 셈이다. 프로젝트가 삐걱대는 배경에는 오픈AI와 소프트뱅크 간의 미묘한 갈등이 자리 잡고 있다. WSJ에 따르면 양측은 소프트뱅크 자회사 관련 부지에 데이터센터를 얼마나 건설할지를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오픈AI가 소프트뱅크가 투자하지 않은 다른 데이터센터 사업에도 '스타게이트' 상표를 사용하면서 갈등의 골이 깊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의 독자적인 행보도 눈에 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차세대 AI 모델에 필요한 막대한 연산력을 서둘러 확보하기 위해 소프트뱅크 외에 오라클, 코어위브 등 다른 기업들과도 별도의 데이터센터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는 파트너인 소프트뱅크를 기다리기보다 독자적으로 컴퓨팅 자원 확보에 나선 것으로 양사의 '동상이몽'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오픈AI와 소프트뱅크는 사업이 잘 진행되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양사는 공동성명을 내고 여러 주에서 프로젝트가 진척되고 있다고 밝혔으나 프로젝트 초기 파트너로 지목됐던 오라클은 아직 투자 규모조차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사업의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2025-07-23 07:54:5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먹튀' 해외 게임사 막는다…해외 게임사 국내대리인 지정 의무화
2
[2025국감] 과방위 국감 13일 시작…'역대급' 과방위 국감, '해킹·갑질' 정조준
3
[김다경의 전자사전] AI 시대의 숨은 인프라, '데이터센터'...차세대 성장 엔진으로
4
[2025국감] 현대건설, 국감서 '3대 의혹' 정조준… 관저 안전관리·파인그라스·가덕도 신공항까지
5
[2025국감] 이재명 정부 '3차 부동산 대책' 조만간 발표…"세금은 최후의 수단, 규제 지역 확대·공급 속도전 병행"
6
[2025국감] "안전점검만 6만번"… 10대 건설사, 중처법 대응에 연 8300억원 쏟았다
7
카드업계, 하반기도 '브랜드 전쟁'...제휴·PLCC 카드 출시 '속속'
8
PF 만기 13조원… 건설업계, '11월 분기점' 앞두고 신뢰 시험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네이버-두나무 빅딜, '간절함'이 빚어낸 ICT 지형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