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09 화요일
맑음
서울 22˚C
흐림
부산 21˚C
비
대구 19˚C
맑음
인천 23˚C
흐림
광주 21˚C
흐림
대전 21˚C
비
울산 20˚C
흐림
강릉 24˚C
흐림
제주 2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서비스 해지'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방통위, SKT 초고속인터넷 해지 지연 논란 실태 점검 착수
[이코노믹데일리] 방송통신위원회가 SK텔레콤의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해지 지연 사례와 관련해 실태 점검에 나선다. 이용자가 통신사를 변경할 때 편의를 돕기 위해 도입된 '원스톱전환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이용자의 선택권이 침해됐다는 판단에서다. 방통위는 12일 "최근 SK텔레콤의 초고속인터넷 이용자가 계약 해지를 신청했으나 ‘원스톱전환서비스’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아 해지 절차가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했다"며 "전기통신사업법상 금지행위 위반 여부를 포함한 실태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원스톱전환서비스'는 이용자가 새로운 통신사에 가입 신청만 하면 기존 통신사에 별도로 해지 요청을 하지 않아도 신규 서비스 개통과 동시에 기존 계약이 자동으로 해지되는 제도다. 방통위는 통신사 변경 과정의 소비자 불편을 줄이기 위해 2020년 이 제도를 도입했으며 현재 이동통신사와 종합유선방송사업자 등이 시행 중이다. 그러나 최근 일부 SK텔레콤 이용자들이 해당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부당한 지연을 겪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지난 4월 말 SK텔레콤의 유심 정보 유출 사고 이후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 결합상품 이용자들이 타 통신사로 이동하려 할 때 해지 절차가 원활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SK텔레콤이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원스톱전환서비스를 지연시킨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측은 "지난 5월 초 가입자들의 해지 신청이 갑작스레 몰리면서 주말에 접수된 해지 신청 건이 그 다음 주 평일에 처리돼 생긴 오해"라고 해명했다. 방통위는 이번 실태 점검에서 SK텔레콤이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 해지를 지연하거나 제한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계획이다. 점검 결과에 따라 위반 행위가 확인되면 사실조사로 전환될 수 있으며 관계 법령에 따라 연평균 매출액의 최대 3%에 해당하는 과징금 부과 및 형사고발까지 가능하다. 아울러 방통위는 이번 점검과 함께 원스톱전환서비스 제도의 운영 실태와 개선 필요성도 함께 검토한다. 이를 통해 통신 이용자가 보다 자유롭고 편리하게 통신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2025-06-12 17:25:55
SKT, 유심 교체 6일 연속 30만명 돌파…누적 417만명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의 유심(USIM) 교체 작업이 6일 연속 하루 30만명 이상을 기록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25일 SK텔레콤 뉴스룸에 따르면 지난 24일 30만명의 가입자가 유심을 교체하면서 누적 유심 교체자 수는 총 417만명으로 집계됐다. 유심 교체 잔여 예약자는 24일 자정 기준 482만명이다. SK텔레콤의 일일 유심 교체자 수는 지난 19일 33만명을 시작으로 20일 35만명, 21일 36만명, 22일 31만명, 23일 33만명, 24일 30만명으로 엿새 동안 꾸준히 30만명을 넘어섰다. 이에 따라 누적 유심 교체자는 19일 252만명에서 24일 417만명으로 165만명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잔여 예약자 수는 633만명에서 482만명으로 151만명 감소했다. 이러한 교체 속도 증가는 유심 교체 안내 확대와 함께 SK텔레콤 본사 및 그룹사 직원들의 현장 지원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지난 22일까지 약 5000여 명의 직원이 현장 지원에 참여했으며 2500여 명은 고객 응대 및 유심 교체 교육을 진행 중이다. 또한 유심 카드 재고 부족 문제도 해소되면서 교체 작업이 원활해졌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유심 교체율은 이달 말까지 전체 유심 교체 예약자 중 절반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다음 주 중반까지 유심 교체 안내를 마무리하고 이번 주 중반에는 유심 교체 가입자 수가 잔여 예약자 수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SK텔레콤은 뉴스룸을 통해 유심보호서비스 관련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도 제공했다. 유심보호서비스를 해지하지 않고 새 휴대전화에 유심을 끼우면 정상 작동하지 않지만 이전 휴대전화에 다시 끼우면 정상 작동하며 이 상태에서 서비스 해지 후 새 휴대전화에 유심을 장착하면 정상 사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유심 교체나 재설정 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은 유지되지만 갤럭시S24 시리즈 이전 듀얼심 단말에서 이심(eSIM) 개통 시에는 재가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25-05-25 12:19:0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법원, 구글 반독점 1심 최종 판결…"크롬 매각 불필요, 데이터는 공유해야"
2
정부, 부동산 대책 곧 발표… 보유세 강화는 제외
3
[단독] 업비트, '2025 LCK' 공식 후원…e스포츠 팬심 정조준
4
셀러 또다시 등 돌리나…티몬 재오픈 연기에 속타는 오아시스
5
인천공항사고로 드러난 공기업산재 실태… 이학재사장 책임론 확산
6
롯데건설 김해 현장서 또 사망사고…5년간 16명 숨졌다
7
삼성전자·LG전자, 로봇청소기 보안 이끌지만…국내 제도는 여전히 미비
8
[기자수첩] 생산적 금융과 밸류업 사이 딜레마…은행 자본은 어디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K-제조업이 보낸 SOS…'선언적 구호'냐 '정책 실행'이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