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12 화요일
맑음
서울 27˚C
흐림
부산 23˚C
흐림
대구 24˚C
맑음
인천 27˚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3˚C
흐림
강릉 24˚C
흐림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상매각'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5월 은행대출 연체율 0.64%…전월比 0.07%p 상승
[이코노믹데일리] 지난 5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소폭 증가했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64%로 전월 말(0.57%) 대비 0.07%p 상승했다. 신규연체 발생액이 3조5000억원으로 전월(2조9000억원)보다 6000억원 늘었으며,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7000억원으로 전월과 유사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77%로 전월 말 대비 0.09%p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15%)은 0.02%p,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95%)은 0.12%p씩 각각 증가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7%로 전월 말보다 0.04%p 올랐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연체율은 0.32%로 0.02%p 상승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0.94%)은 0.08%p 증가했다. 신규연체 증가로 5월 중 연체율 상승 폭이 전월보다 확대됐다는 게 금감원 분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연체·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선제적인 채무조정을 유도하겠다"며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및 손실 흡수능력 확충 등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7-25 14:05:39
4월 은행권 연체율, 전월 比 0.04%p↑…"부실채권 상·매각 축소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가계·기업대출이 증가하면서 은행권 연체율이 한 달 새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한단 방침이다. 27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0.57%를 기록해 전월 말(0.53%) 대비 0.04%p 상승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당시 연체율이 전월보다 0.05%p 줄어든 지 한 달 만에 다시 반등한 것이다. 은행권 연체율은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3월 4조1000억원에서 4월 1조7000억원으로 약 2조4000억원 감소한 영향을 받았다. 앞서 지난 2월에는 연체율이 0.58%를 기록하며 2018년 11월(0.60%) 이후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통상 은행 연체율은 분기 중 상승했다가 연체채권 상·매각 관리가 강화되는 분기 말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연체율 상승 추세를 고려했을 때 5월 연체율은 2월 수치를 넘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4월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3조원)보다 1000억원 감소했다. 신규 연체율 역시 0.12%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부문별 현황을 살펴보면 같은 기간 기업대출 연체율은 0.68%로 전월 0.62% 대비 0.06%p 상승했다. 가계대출 역시 연체율이 한 달 새 0.41%에서 0.43%로 0.02%p 늘었다. 특히 중소법인 대출의 경우 연체율이 0.80%에서 0.89%로 0.09%p 늘며 한 달간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및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자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며 "개인사업자 등 취약차주의 채무부담 완화를 위해 연체 우려 차주 등에 선제적인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2025-06-27 13:59:4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포스코이앤씨, 전 현장 공사 무기한 중단…"사고 재발 막겠다"
2
日 히타치 GLS 인수戰…LG전자 승리할 수 있을까
3
삼성·LG, 디스플레이 '왕좌의 대결'…"같은 듯 달랐다"
4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 논란… "법치주의 무시한 발언" 반발 확산
5
'마이데이터 2.0 시대' 개막…銀, '고객 경험' 서비스 진화 속도전
6
포스코이앤씨, 신안산선 사고·인명피해에 '경영 경고등'…하반기 수천억 손실 우려
7
아시아나 마일리지 차별 우려 여전…"1:1 지급이 형평성 있어"
8
'공룡 OTT' 탄생 초읽기…티빙·웨이브, '넷플릭스 대항마' 진짜 나온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지시'로 SPC 산재 막을 수 없다…'진짜 실행력' 증명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