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13 목요일
맑음
서울 4˚C
비
부산 9˚C
맑음
대구 8˚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9˚C
흐림
대전 8˚C
흐림
울산 11˚C
구름
강릉 9˚C
맑음
제주 14˚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빗썸 거래왕'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빗썸, '제13회 거래왕' 이벤트 개최…폴카닷 등 25종 가상자산 대상
[이코노믹데일리]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이 총상금 규모에 한도를 두지 않는 파격적인 거래 대회를 열고 이용자들의 투자 참여 독려에 나섰다. 거래가 활발할수록 상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누적형 이벤트를 통해 침체된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고 플랫폼 활성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빗썸은 오는 16일까지 '제13회 빗썸 거래왕'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폴카닷(DOT), 에이브(AAVE), 니어프로토콜(NEAR) 등 총 25종의 가상자산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각 종목별 시작 상금은 300만원으로 총 7500만원 규모의 상금으로 시작한다. 이번 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거래가 늘어날수록 총상금 규모가 함께 커지는 '누적 적립' 구조다. 이용자들의 거래대금이 쌓일수록 최종 상금 규모도 커지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거래를 유도할 수 있다. 실제로 역대 거래왕 대회의 최고 총상금은 9억 원을 넘어섰으며 한 명의 수상자가 1억원이 넘는 상금을 받아 가기도 했다. 최종 상금은 각 가상자산별 누적 거래금액 상위 50명, 총 1250명에게 차등 지급된다. 또한 지정가(메이커) 주문으로 거래한 모든 이용자에게는 체결 금액의 0.05%를 포인트로 돌려주는 '메이커 리워드' 혜택도 제공된다. 빗썸은 '거래왕' 이벤트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인 보상과 함께 거래의 재미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고객 참여형 대표 프로그램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빗썸 관계자는 "13회째를 맞은 거래왕 이벤트는 참가자와 상금 규모가 꾸준히 확대되며 빗썸의 대표 고객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거래를 통해 실질적인 보상을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선보이며 이용자 중심의 거래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11-05 10:57:00
빗썸 거래왕 시즌2, 상금 주인공은 누구…최대 4300만원 주인공은
[이코노믹데일리] 빗썸이 오는 16일까지 누적 거래금액에 따라 상금이 커지는 ‘제2회 빗썸 거래왕’ 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가상자산별 누적 거래금액 상위 20명에게 거래금액의 일부를 상금으로 차등 지급하며 거래가 활발할수록 전체 상금 규모도 늘어나는 구조가 특징이다. 제2회 대회는 6월 3일 오전 11시부터 16일 오후 11시 59분까지 진행되며 빗썸 공지사항 내 링크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대회는 제1회 대회 대비 상금 대상 인원이 460명에서 600명으로 확대돼 더 많은 참여자에게 보상이 돌아갈 예정이다. 대상 가상자산은 비앤비(BNB), 유에스디코인(USDC), 에이다(ADA)를 포함한 총 30종이다. 시상 발표는 6월 23일, 상금 지급은 시상 발표 이후 7월 6일까지 이뤄진다. 메이커 주문(지정가 주문)으로 거래한 참가자에게는 ‘거래왕 메이커 리워드’도 제공된다. 대회 기간 중 메이커 주문으로 체결된 금액의 0.05%를 별도 포인트로 지급하며 가상자산별 회원당 최대 300만 포인트까지 받을 수 있다. 해당 포인트는 6월 30일 일괄 지급되며 기존 멤버십 포인트와는 중복 지급되지 않는다. 지난 1회 대회에서는 총 8억3352만 원이 상금으로 지급됐고 월드코인(WLD) 1위는 약 4300만 원을 받기도 했다. 김영훈 빗썸 고객전략총괄은 “빗썸 거래왕 이벤트는 실거래 중심의 보상을 확대하고 다양한 가상자산에 대한 이용자 접근성과 관심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의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이벤트와 체험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6-05 08:56:5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토종 SW 자존심' 더존비즈온, 외국 자본에 넘어갔다…김용우 회장, '먹튀' 비판
2
[정보운의 강철부대] 정의선·정기선, '현대'를 되찾은 진짜 의미…20여년 만에 다시 이어진 현대家의 피
3
효성家 베트남 사업서 형제간 명암 엇갈려
4
현대건설, 약속이 멈추자 실적도 멈췄다
5
KT 해킹, '펨토셀'이 암호화 뚫었다…문자·통화까지 노출 우려
6
이재용의 '뉴삼성' 시동...정현호 용퇴·TF팀 해체 "대대적 쇄신 예고"
7
미국서 가격 낮춘 위고비·마운자로, 국내 시장선 현실성 낮아
8
정유 4사, 3Q 흑자전환 '성공'...정제마진 강세에 4Q도 '장밋빛'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합의 뒤집고 공사 멈춘 현대건설, 판결이 던진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