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31 금요일
흐림
서울 14˚C
구름
부산 12˚C
맑음
대구 11˚C
흐림
인천 14˚C
흐림
광주 11˚C
흐림
대전 13˚C
맑음
울산 12˚C
흐림
강릉 14˚C
구름
제주 15˚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보안 패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오픈AI, GPT-5 기반 보안 AI 에이전트 '아드바크' 공개…취약점 찾고 패치까지
[이코노믹데일리]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자율적으로 찾아내고 수정 패치까지 제안하는 인공지능(AI) 보안 에이전트를 공개했다. 인간 보안 전문가처럼 사고하고 추론하는 방식으로 작동해 사이버 보안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오픈AI는 30일(현지시간) 자사의 차세대 언어모델 GPT-5를 기반으로 한 AI 보안 에이전트 '아드바크(Aardvark)'를 공개했다. '아드바크'는 이용자를 대신해 과제를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AI 에이전트의 일종으로 소프트웨어 보안 작업에 특화돼 있다. 이 AI 에이전트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을 식별한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발견된 취약점의 악용 가능성을 평가해 심각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매기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맞춤형 보안 패치(수정 프로그램)까지 직접 제안한다. '아드바-크'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정형화된 프로그램 분석 기법을 넘어 인간 보안 연구원과 유사한 방식으로 추론하고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이다. 또한 보안 담당자가 쉽게 검토할 수 있도록 취약점에 주석을 달고 생성된 패치를 클릭 한 번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사용자 편의성도 높였다. 오픈AI는 '아드바크'를 수개월간 내부 시스템과 일부 파트너사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했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실제 취약점을 발견했으며 이 중 10개는 공통취약점노출(CVE) 번호를 부여받을 정도로 심각성이 인정됐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우선 비공개 베타 테스트 형태로 '아드바크'를 출시하고 점차 공개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일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무상으로 탐지 서비스를 제공하며 AI 기반 보안의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2025-10-31 09:28:47
롯데카드 보안 예산 비중 5.2%p ↓...해킹 사고 과징금 부과 가능성도
[이코노믹데일리] 롯데카드 해킹 사고의 원인이 보안투자 미흡이라는 지적에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정보보호 투자를 강화했다고 해명했지만 최근 5년간 관련 예산은 오히려 감소세를 보였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카드의 올해 정보보호 예산은 96억5600만원으로 정보기술(IT) 예산 1078억4400만원의 9%를 차지했다. 지난 2020년 IT 예산 대비 정보보호 예산 비중은 14.2%로 5년 새 5.2%p 감소했다. 특히 롯데카드는 타 카드사 대비 정보보호 예산 비율 하락폭이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KB국민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는 정보보호 예산 비율이 증가했다. 국민카드의 정보보안 예산 비율은 14.9%로 전년 동기 4.6%p 올라 비율 및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현대가드도 비중을 2.1%p 늘린 10.2%를 기록했다. 하나카드의 정보보안 예산 비중은 10.7%로 0.4%p 소폭 늘었다. 나머지 카드사의 정보보안 비중 증감율은 △우리카드 -4.4%p △삼성카드 -3%p △BC카드 -1.3%p △신한카드 -0.7%p 순으로 롯데카드의 감소율 보다는 낮았다. 이에 MBK파트너스가 지난 2019년 롯데카드를 인수한 후 단기 실적에 집중해 정보보호 투자에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해킹 사고의 기술적 원인은 지난 2017년 온라인 결제서버 취약점 보안패치 중 자주 사용하지 않던 A사의 패치 적용을 놓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또한 외부 공격자의 해킹 공격 시점은 지난달 13일로 롯데카드는 공격 이후 13일이 지난 26일에서야 해킹 정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총 피해 규모는 297만명으로 이중 28만명은 카드 부정사용에 활용되는 민감정보도 유출됐다. 현재 금융당국은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태와 관련해 징벌적 과징금 제도 도입을 논의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보안 사고 발생 기업에 징벌적 과징금을 부과하라는 지시를 내린 만큼 업계에서는 롯데카드에 최대 800억원 규모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025-09-23 09:43: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역대 최강' LCK, 롤드컵 8강 점령…우승컵 탈환 청신호
3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4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5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8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