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롯데, 베트남서 첫 글로벌 잡페어…현지 인재 500명 채용 목표
[이코노믹데일리] 롯데가 글로벌 인재 확보를 위해 베트남에서 처음으로 개최한 '2025 롯데 글로벌 잡페어(LOTTE Global Job Fair)'가 성공적으로 열렸다. 24일 롯데지주에 따르면 지난 22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L7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바이 롯데에서 개최된 2025 롯데 글로벌 잡페어가 성황리 마무리됐다. 이번 잡페어는 롯데가 해외에서 개최한 첫 번째 채용 행사로, 그룹의 핵심 진출 국가인 베트남에서 그 시작을 알렸다. 롯데는 1998년 롯데리아를 시작으로 베트남 시장에 진출해 유통, 관광, 서비스 등 사업 영역을 넓혀왔으며, 현재 15개 그룹사가 활발히 사업을 펼치고 있다. 베트남 현지에서 근무하는 롯데 직원은 1만 명에 달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롯데그룹의 비전과 사업을 소개하고, 현지 취업준비생들에게 채용 상담 기회를 제공했다. 하노이 주요 대학 졸업예정자 500여 명이 참가해 현직 인사 담당자들과 만나 직무 및 채용에 대한 상담을 받고 모의 면접을 진행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에는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호텔롯데, 롯데월드, 롯데물산, 롯데이노베이트 등 총 6개의 그룹사가 참여했으며, 올해 총 500여 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행사장은 △롯데 그룹의 비전과 베트남 사업을 소개하는 '라이프 위드 롯데(Life with LOTTE)' △커리어 상담과 모의 면접을 제공하는 '커리어 위드 롯데(Career with LOTTE)' △그룹사 홍보 및 경품 이벤트가 진행되는 '펀 위드 롯데(Fun with LOTTE)' 등 3개 공간으로 구성됐다. 또한 사전에 선발된 인원들은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를 직접 둘러보며 사업장을 체험하는 기회도 가졌다. 롯데 관계자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하고자 베트남에서 처음으로 채용 행사를 개최했다"면서 "향후 그룹의 핵심 진출 국가인 인도네시아, 인도에서도 글로벌 채용 행사 진행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2025-08-24 15:00:07
-
-
신동빈 회장, 롯데쇼핑 등기이사 겸 대표이사로…'제2 유통 부흥' 이끌까
[이코노믹데일리] 신동빈 롯데 회장이 5년 만에 롯데쇼핑 사내이사로 복귀한 데 이어 공동 대표이사까지 맡으며 ‘책임 경영’을 강화한다. 본업 경쟁력 강화와 재무 건전성 확보에 고삐를 죌 것이란 전망과 함께 ‘제2의 유통 부흥’을 이끌지 주목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쇼핑은 지난 24일 영등포 롯데리테일아카데미에서 제55기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신동빈 회장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처리했다. 신 회장의 롯데쇼핑 사내이사 복귀는 지난 2020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사임계를 낸 지 5년 만이다. 롯데쇼핑은 신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배경에 대해 “그룹의 한 축인 유통 부문을 책임지고 경영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신 회장은 롯데지주와 롯데케미칼, 롯데웰푸드, 롯데칠성음료 등 4개사의 사내이사와 공동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오는 25일 진행되는 롯데칠성의 주총에서 신 회장의 사내 이사직은 연임하지 않기로 했다. 롯데쇼핑은 신 회장을 공동 대표이사로 선임하기도 했다. 신 회장의 대표이사 복귀는 12년 만이다. 이에 따라 롯데쇼핑의 공동 대표이사는 김상현 부회장과 정준호 백화점 사업부 대표, 강성현 마트사업부 대표 등 3인에서 4인으로 늘었다. 신 회장은 그룹의 핵심 축인 유통 분야가 내수 부진과 온라인 중심 소비 패러다임 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해외 사업 육성 등을 진두지휘 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쇼핑의 매출은 지난 2018년 17조8000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 14조원으로 약 27% 감소했다. 같은 기간 국내외 백화점·대형마트·슈퍼·하이마트 등 점포 수도 1234개에서 874개로 29% 줄었다. 김상현 롯데 유통군 총괄대표 부회장은 롯데쇼핑 정기 주총에서 “올해는 고부가·글로벌 사업을 통해 매출과 이익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하겠다”며 “롯데쇼핑은 ‘고객의 첫 번째 쇼핑목적지’가 되기 위해 근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 발굴을 향한 혁신을 멈추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유통업의 근본인 고객에 집중하고 사업부별 체질 개선을 통한 본업 경쟁력 강화와 재무 건전성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이어 그는 “다수의 오프라인 점포를 활용해 디지털 광고사업 기반을 확보하고, 많은 고객 구매 정보 등을 통해 다양한 AI(인공지능) 과제를 추진해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롯데쇼핑은 작년 10월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에서 매장 내 전광판과 온라인 검색창 등을 활용한 ‘리테일 미디어 네트워크’(RMN) 사업을 본격화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겠다고 했다. 김 부회장은 해외 사업과 관련해 “국내 내수 시장의 성장 한계와 소비 둔화를 극복하기 위해 싱가포르 현지 운영법인을 설립해 해외 사업을 본격 육성할 계획”이라며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 성공모델을 기반으로 복합단지와 쇼핑몰 중심의 개발 사업을 검토하고 PB(자체 브랜드) 상품 수출을 미국, 동남아 등으로 추진해 해외 시장을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백화점 사업부는 해외에서 그룹사 복합 단지로 개발 가능한 최적의 부지를 검토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백화점 국내 사업과 관련해서는 타임빌라스 수원의 성공적인 개장을 발판 삼어 군산점 리뉴얼 오픈을 준비하고, 잠실점·본점 등 주력 점포의 대규모 리뉴얼로 확고한 경쟁력을 구축할 계획이다. 롯데마트·슈퍼의 경우 국내사업 효율화와 해외사업 확장 가속화, 내달 롯데마트 신규 식료품앱 제타의 공식 출시, 영국 리테일테크 기업 ‘오카도’(Ocado)와 손잡고 부산에 건설 중인 최첨단물류센터(CFC) 1호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커머스 사업부는 패션·뷰티 상품군을 중심으로 수익성을 지속 개선해 흑자전환 목표를 조기 달성하겠다고 전했다. 롯데쇼핑은 중장기 가이던스로 오는 2030년 매출액 20조3000억원, 영업이익 1조3000억원을 제시했다. 이 중 해외사업 매출액을 3조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2025-03-25 10:5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