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5건
-
연세대 바른ICT연구소, 16일 '아시아 프라이버시 포럼' 개최…데이터 거버넌스 논의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기술의 화려한 이면에서 작동하는 데이터 거버넌스와 디지털 책임성을 조명하는 국제 포럼이 열린다. AI 기술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며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 윤리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아시아 지역의 학계, 산업계, 정책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술 혁신과 신뢰의 균형점을 모색한다.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는 한국CPO포럼, 싱가포르경영대학과 공동으로 1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제14회 Asia Privacy Bridge Forum’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Behind the Scenes: Enhancing AI Data Governance and Digital Responsibility”를 주제로 AI와 데이터 경제의 ‘무대 뒤’ 핵심 과제들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포럼에서는 AI 시대에 기업이 갖춰야 할 디지털 책임(CDR), 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의 균형,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거버넌스 등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진다. 특히 일본 테크니카 젠, 토요타자동차, 와세다대학, 중국 킹앤우드말레슨스, 인도 델리공과대학, 싱가포르 시스코 등 다양한 국가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각국의 AI 규제 프레임워크와 기업의 대응 전략을 공유한다. 국내에서는 토스뱅크가 공공 마이데이터 활용 사례와 개인정보보호 노력을 소개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감독원 담당자가 신기술 시대의 정책 과제와 AI 리스크 관리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번 포럼은 AI 기술의 발전 속도에 맞춰 책임성과 신뢰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라는 시대적 질문에 답을 찾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기술의 이면에서 작동하는 정책, 권력, 미래의 과제를 종합적으로 논의하며 지속가능한 데이터 거버넌스를 위한 국제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10-13 18:59:00
-
-
구글·메타·오픈AI 총출동…'AI 개인정보' 세계 대전, 15일 서울서 열린다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시대의 개인정보보호 글로벌 표준을 논의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회의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GPA)’가 오는 15일부터 19일까지 닷새간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열린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주최하는 이번 총회에는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전 세계 95개국 148개 개인정보 감독기구에서 약 1000명이 참석해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진다. ‘AI 시대 개인정보 이슈’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총회는 AI 기술 발전과 개인정보보호라는 두 가치를 조화시킬 글로벌 규범 정립 과정에서 한국이 주도권을 확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다. 행사 첫날인 15일에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오픈AI, 네이버 등 글로벌 AI 기업들이 참여하는 ‘오픈소스 데이’가 열려, 오픈소스 생태계와 프라이버시 문제를 논의한다. 같은 날 한국 CPO협의회는 ‘AI 안전 생태계 조성을 위한 7대 실천사항’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발표한다. 16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나흘간 이어지는 본회의에서는 5개의 기조연설과 20개의 패널토론이 진행된다. 메신저 앱 ‘시그널’의 메러디스 휘태커 회장,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 등 세계적인 연사들이 기조연설에 나선다. 토론에서는 ‘글로벌 AI 데이터 거버넌스’, ‘에이전트 AI’, ‘아동·청소년 프라이버시’ 등 AI 시대의 핵심 현안들이 심도 있게 다뤄질 예정이다. 행사장에는 삼성전자의 ‘녹스 볼트 플랫폼’, LG유플러스의 ‘익시오’, 토스의 ‘페이스페이’ 등 국내 기업들의 우수한 개인정보보호 강화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시 공간도 마련된다. 고학수 개인정보위원장은 “이번 총회가 기폭제가 돼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정책 방향이 데이터 및 개인정보 거버넌스 논의에서 중심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09-07 17:21: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