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1 토요일
맑음
서울 17˚C
맑음
부산 19˚C
맑음
대구 19˚C
맑음
인천 16˚C
맑음
광주 16˚C
맑음
대전 16˚C
맑음
울산 17˚C
맑음
강릉 16˚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고질라'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네이버웹툰 美 본사, 1분기 환율에 발목 잡혀 적자 전환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웹툰의 미국 본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가 올해 1분기 원화와 엔화의 약세라는 복병을 만나 매출에 타격을 입고 적자를 기록했다.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이 2663만 달러(약 387억원)로 잠정 집계됐다고 13일(현지시간)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했던 영업이익 1419만 달러에서 적자로 돌아선 것이다. 같은 기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한 3억2571만 달러(약 4727억원)를 기록했으며 순손실은 2197만 달러(약 319억원)로 나타났다. 다만 조정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410만 달러(약 60억원)를 기록하며 수익성 개선의 여지는 남겼다. 웹툰 엔터테인먼트 측은 전체적인 성장세는 기존 전망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으나 원화와 엔화의 약세 영향으로 매출액이 타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실제 환율 변동 요인을 제외한 동일 환율 기준으로는 1분기 매출이 작년 동기보다 5.3% 성장한 것으로 분석됐다. 사업 부문별 희비는 엇갈렸다. 광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3990만 달러를 지식재산(IP) 비즈니스 매출은 11.8% 성장한 2560만 달러를 각각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반면 핵심 수익원인 유료 콘텐츠 매출은 2.5% 줄어든 2억6020만 달러에 그쳤다. 국가별로는 일본 시장에서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일본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늘어난 2190만명을 기록했으며 일본 이용자 1인당 월평균 결제액(ARPPU)은 22.3달러로 한국(7.5달러) 및 기타 국가(6.5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네이버웹툰의 일본어 서비스인 라인망가 앱은 1분기 일본 전체 앱 마켓에서 매출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북미 시장에서도 글로벌 웹툰 앱 개편 효과로 월간 활성 이용자가 19% 늘어나는 성과를 거뒀다. 최근 글로벌 웹툰 앱은 인공지능(AI) 추천 기능과 짧은 영상 콘텐츠인 '숏츠' 기능을 도입한 바 있다. 김준구 웹툰 엔터테인먼트 대표는 "유료 콘텐츠, 광고, IP 비즈니스를 포함하는 전 사업 부문이 동일 환율 기준 고르게 성장해 시장 기대에 부합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더욱 다양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선보이며 더 많은 독자가 작품을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주주서한을 통해 올해 2분기 매출액 가이던스로 3억3500만 달러에서 3억4500만 달러, 조정 EBITDA는 50만 달러에서 550만 달러를 제시하며 실적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를 위해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2분기 들어 미국 인기 코믹스 '고질라: 언내추럴 디제스터', '소닉 더 헤지혹'과 일본 만화 '강철의 연금술사', '촌구석 아저씨, 검성이 되다' 등을 웹툰 형태로 선보이는 등 IP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5-05-14 08:08:2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4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5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