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
-
3분기 상업·업무 빌딩 거래 2년 만에 10조 넘겨
올해 3분기 서울과 경기권에서 대형 빌딩 거래가 늘며 거래금액이 2년 만에 10조원대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지난달 31일 기준)를 기반으로 2024년 3분기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 분석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은 총 3578건으로 2분기(3735건)보다 4.2% 줄어든 반면 거래금액은 9조1337억에서 31.7% 오른 12조263억원을 기록했다. 거래금액이 10조원을 넘긴 것은 지난 2022년 3분기(10조2741억원) 이후 2년 만이다. 3분기 월별 거래량 흐름을 살펴보면 △7월 1313건 △8월 1197건 △9월 1068건으로 감소세였으나 거래금액은 반등했다. 작년 3분기와 비교해선 거래량(3343건)은 7% 증가했으며, 거래금액(6조8263억원)은 76.2% 늘었다. 시도별로 보면, 거래량은 경기(741건)가 3분기 거래량의 20.7%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 17.7%(632건) △경북 7.5%(269건) △경남 6.4%(230건)이었고 충남(209건)과 전남(207건)이 각각 약 5.8% 순이었다. 서울, 충남, 광주를 제외한 14개 지역에서 전 분기 대비 거래량이 감소했다. 거래금액은 서울(7조8997억원)이 3분기 전체 거래액의 65.7%로 절반을 훌쩍 넘겼고, 이어 경기 17.3%(2조805억원)로 서울, 경기 지역이 전체 거래액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2분기 대비 거래금액이 상승한 곳은 7개 지역으로 △경기(60.4%, 2조805억원) △서울(46.5%, 7조8997억원) △경남(11.3%, 1805억원) △광주(9.9%, 1402억원) △인천(6.6%, 2731억원) △전남(3.6%, 1014억원) △강원(0.4%, 1150억원) 순이다. 거래 금액대별로 보면, 서울은 전체 632건 중 10억원 이상 50억원 미만 빌딩 거래가 277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300억원 이상 금액대의 39건 거래 중에서는 서울이 32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경기 5건, 인천과 부산에서 각각 1건의 거래가 성사됐다. 시군구 별로 보면 거래량은 경기도 화성시와 서울 강남구에서 각각 101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 중구 81건, 경기 김포시 77건, 충북 청주시 60건 등 순이다. 거래금액은 서울 강남구가 약 2조3509억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서울 서초구 1조3905억원, 서울 중구 1조63억원, 경기 하남시 7780억원, 서울 마포구가 5848억원 가장 높은 가격에 거래된 건물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더에셋(The Asset) 빌딩으로 1조1042억원에 매매됐다. 이어 △경기도 하남시 풍산동 소재의 하남IDC(약 7436억원) △서울 중구 서소문동 소재 시티스퀘어(4281억원)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미래에셋증권빌딩(3727억원) △서울 강남구 삼성동 L7강남(3300억원) 등 순이었다. 1~5위 빌딩 모두 법인이 매수했다.
2024-11-04 15:09:39
-
-
-
-
-
-
-
-
-
사명 바꾼 현대면세점, BI도 싹 바꿨다…"브랜드 경쟁력 강화"
현대면세점이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대적인 변화에 나섰다. 최근 사명 변경과 수장 교체, BI(Brand Identity)까지 새롭게 선보이면서 경쟁력 제고에 박차를 가한다. 4일 현대면세점에 따르면 신규 BI는 무역센터점과 동대문점, 인천공항점 등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몰에 적용한다. 현대면세점 관계자는 “이번에 선보이는 신규 BI는 더하기(+)와 빼기(-)를 조합한 것이 특징”이라며 “풍성한 혜택과 새로운 즐거움을 더하고(+), 쇼핑부담과 불편함은 덜어낸다(-)는 뜻을 디자인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현대면세점은 BI 변경과 함께 신규 브랜드 유치를 통해 사업 경쟁력 제고에 고삐를 당긴다. 인천공항점은 지난달 생로랑과 발렌시아가 부티크가 각각 제1여객터미널과 제2여객터미널에 문을 열었다. 기존에 운영 중이던 루이비통, 샤넬, 구찌에 더해 총 26개의 명품 브랜드를 보유하게 됐다. 무역센터점은 지난 7월 펜디에 이어 10월 생로랑 매장을 새롭게 오픈했으며, 이달 중 발렌시아가 매장도 추가로 오픈할 계획이다. 동대문점에는 올해 마뗑킴, 마리떼프랑소와저버 등 외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신규 K패션 브랜드가 대거 입점했다. 앞서 현대면세점은 기존 ‘현대백화점면세점’ 사명에서 백화점을 떼고 재도약을 알린 바 있다. 법인명도 현대디에프로 변경하며 면세 사업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높였다. 현재 면세점 업계는 부진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현대면세점의 올해 상반기 영업손실은 90억원에 달한다. 현대면세점은 지난달 31일 새 수장으로 박장서 영업본부장을 내정, 실적 반등을 꿈꾸고 있다. 박 신임 대표는 1992년부터 33년째 국내 주요 면세점에서 면세점 영업을 담당해 온 면세사업 분야 전문가로, 2020년 현대면세점에 입사한 이후 영업본부장을 맡아왔다. 현대면세점 관계자는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해외 진출 등 사업 확장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라며 “지속적인 도전과 혁신으로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더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11-04 14: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