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진건설부동산부
sjhan0531@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DL이앤씨, 6년 연속 신용등급 'AA-'…업계 최고
DL이앤씨가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건설업계 최고 수준인 'AA- (안정적)' 회사채 신용등급을 부여받았다고 3일 밝혔다. 이로써 DL이앤씨는 2019년 6월 등급 부여 이래 6년 연속 해당 등급을 변함없이 유지했다. 3대 신용평가사는 평가보고서를 통해 DL이앤씨의 우수한 시장 지위와 시공 경험에 기반한 사업경쟁력, 다양한 포트폴리오와 풍부한 수주 잔액이 뒷받침된 안정적 사업기반,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 가능한 재무안정성 등을 이번 등급 평가의 근거로 제시했다. 앞으로도 안정적인 현금창출력을 바탕으로 현 수준의 재무안정성 유지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실제 DL이앤씨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PF보증 재무 위기 등으로 건설업계의 경영환경이 어려워진 것과는 대조적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정적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내실경영에 힘쓰고 있다. 2021년 이래 순현금 기조를 견지하고 있으며,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순현금 1조2506억원을 보유해 지난해 말 대비 1896억원 증가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2조4320억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업현금흐름도 +2774억원을 기록해 독보적인 유동성과 재무안정성을 갖추고 있다. 철저한 위기관리를 지속해온 만큼 차입금 의존도는 13.5%에 불과하고, 부채비율 역시 102.3%를 기록해 업계 최저 수준이다. DL이앤씨 재무관리실 관계자는 "이번 신용등급 평가에서 다시 한번 인정 받은 우수한 시장지위, 안정적 사업기반, 탁월한 재무안정성을 견지하겠다"며 "수익성 중심의 내실 경영과 리스크 관리를 지속 전개함으로써 건설 경영환경의 난관을 극복함은 물론 DL이앤씨의 기업가치 제고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7-03 09:38:07
-
-
금호건설, '아테라 익스테리어 디자인' 개발
금호건설이 ‘아테라 익스테리어(외관) 디자인’ 개발로 프리미엄 이미지 구축에 나선다. 금호건설은 신규 주거 브랜드 ‘아테라(ARTERA)’에 적용하기 위한 ‘아테라 익스테리어 디자인’ 개발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아테라 익스테리어 디자인’은 건물 외부 색채와 입면(立面), 단지 출입구, 동 출입구, 지하주차장, 계단실, 엘리베이터실 디자인 등으로 구성됐다. 건물 입면은 ‘Transition’(전환)을 콘셉트로, 면에서 선으로 전환되는 아테라 브랜드만의 고유 패턴을 제작해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했다. 특히 획일화된 아파트 입면에서 벗어나 매스 분절을 통한 입체적 입면을 형성하고, 다양한 재료를 통해 차별적인 구조물 형태를 만들어 개성을 표현할 계획이다. 건물 외부 색채는 아테라 브랜드 색상인 ‘네이비’를 기본으로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했다. 아테라의 얼굴이 될 단지 출입구를 비롯해 차량 진출입 공간부터 램프, 차량통로, 주차구획, 동 출입구 및 커뮤니티 출입구까지 각 구간에 걸쳐 아테라의 컬러와 심볼마크 모양에서 연상되는 디자인과 패턴을 적용해 품격 있는 감성을 부여할 계획이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아테라에 사는 것만으로도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앞으로 아테라 고유의 브랜드 정체성을 담은 디자인을 지속해서 선보여 경쟁력을 갖춘 차별화된 브랜드로 자리잡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2024-07-03 09:37:35
-
-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년 9개월 만에 5000건대 회복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격 상승 폭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거래량이 2년 9개월 만에 5000건대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의 거래량은 줄어들었고, 전국의 악성 미분양 주택은 10개월 연속 증가하며 1만3000가구를 넘어섰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거래(신고일 기준)는 5182건으로 전월보다 7.1%,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39.3%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이 5000건대로 올라선 것은 2021년 8월(5054건) 이후 처음이다. 5월 거래량은 부동산값 상승기였던 2021년 2월(5435건)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서울을 비롯한 5월 수도권 주택 거래량은 2만7603건으로 전월보다 1.8% 늘었다. 그러나 지방 거래량은 2만9833건으로 전월보다 4.0% 감소했다. 이에 따라 5월 전체 주택 거래량은 5만7436건으로 전월보다 1.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거래량은 지난해 12월부터 증가세를 이어가다 6개월 만에 다시 꺾였다. 5월 주택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2만7736건으로 전월보다 7.2% 줄었다. 지난해 동월과 비교해서도 17.8% 감소했다. 전세 거래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13.8% 줄었고, 월세 거래량은 20.6% 감소했다. 올해 1∼5월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7.8%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포인트 높다. 5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2129가구로 집계됐다. 4월보다 0.2%(132가구) 늘며 6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방 미분양 물량이 5만7368가구로 한 달 새 26가구, 수도권 미분양은 1만4761가구로 106가구 증가했다. 5월에는 대전(1221가구), 부산(930가구), 인천(651가구)에서 미분양 규모가 크게 늘었다. 서울 미분양도 38가구 증가하며 쌓인 미분양 물량(974가구)이 1000가구에 가까워졌다. 서울 미분양은 대부분 도시형 생활주택에서 발생한다. 경기(-583가구)와 경북(-953가구)에서는 미분양이 줄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 5월 1만3230가구로, 전월보다 2.0%(262가구) 증가했다. 이런 악성 미분양 주택 규모는 2020년 11월(1만4060가구)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크다. 악성 미분양이 많이 쌓인 곳은 경남(1793가구), 대구(1506가구), 전남(1354가구), 부산(1308가구) 등이다. 서울 악성 미분양은 지난달 539가구로, 2014년 7월(558가구) 이후 9년 10개월 만에 최대치였다. 인허가는 여전히 부진하다.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은 지난 5월 2만3492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9% 감소했다. 올해 1∼5월 누계 인허가 역시 12만5974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1% 줄었다. 다만 서울의 주택 인허가는 올해 4월 666가구에서 5월 3371가구로 큰 폭 증가했다. 빌라 등 비아파트의 인허가 감소 폭이 아파트보다 훨씬 크다. 1∼5월 아파트 누계 인허가는 11만661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2.1% 줄었고, 비아파트는 1만5313가구로 35.8% 감소했다. 전국 주택 착공은 지난 5월 1만734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3% 증가했다. 수도권 착공이 지난해 간은 기간보다 73.3%, 지방은 12.5% 증가했다. 1∼5월 누계 착공은 10만6537가구로 31.4% 늘었다. 5월 분양(승인 기준)은 2만17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1.3% 늘었으나, 전월과 비교해서는 27.9% 줄었다. 1∼5월 누계 분양은 9만84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6% 증가했다. 국토부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확대 등 정책 효과로 착공 대기 물량이 해소되면서 착공과 분양 실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5월 준공은 2만9450가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7% 줄었다. 1∼5월 누계 준공은 18만3638가구로 16.5% 증가했다. 누계 기준으로 수도권 준공이 10.6% 감소했으나, 지방 준공은 49.2% 늘었다. 아파트 준공은 29.5% 늘고, 비아파트는 39.2% 감소했다.
2024-07-02 08:00:00
-
-
-
-
-
-
-
대우건설,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대우건설이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대우건설의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최초로 인쇄 책자 없이 전자문서 형태로만 발간되었다. 이번 보고서도 작년에 이어 이중 중대성 평가를 통해 △고객만족 및 품질향상 △기후변화 △산업안전보건 관리 △친환경 기술개발 및 투자 △통합적 리스크 관리 등 12개의 이슈를 선정했다. 특히 올해에는 외부 이해관계자의 의견 비중을 대폭 확대하고, EU 표준(CSRD)의 이중 중대성 개념을 충실히 적용하는 등의 변화를 줬다. 이번 대우건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국제 표준인 ‘GRI Standards 2021 개정안’에 근거하여 작성되었다. 특히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4대 핵심요소(지배구조,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에 따른 정보 분류 및 서술 방식을 채택하고, 기후변화 대응, 환경, 안전, 공급망 관리, 인적자원 관리 등 총 9개의 중요 이슈에 대해 4대 핵심요소에 따라 공개하였다. 대우건설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목표 및 기간별 세부 전략을 포함한 2050 탄소중립로드맵을 공개하였다. 올해 하반기 기후변화대응위원회 산하에 실무협의체를 신설할 예정으로 탄소중립 목표에 맞춰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응 방안을 수립할 전망이다. 또한, OSC(Off Site Construction) 건설기술, 부유식 해상풍력 설계 기술, 탄소저감 조강형 슬래그시멘트 콘크리트 기술 등 친환경 건설기술 성과와 친환경 매출 및 구매 실적을 세부적으로 공개하였다. 사회 부문에서는 고객만족 및 품질경영 파트의 내용을 2배로 늘려 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조했다. 철근 비파괴검사, 모의 파취조사 등 선제적 품질 검사 및 현장 점검 기준 강화 등의 내용을 추가해 아파트 품질에 대한 고객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높아진 관심도를 충족시켰고 공급망 지속가능성 관리정책을 새롭게 공개했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내부거래심의위원회 신설 등의 노력이 포함되었다. 대우건설은 내부거래심의위원회를 통해 기업의 지배구조 아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부거래 관련 리스크를 사전에 식별․관리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친환경 기술 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신사업 투자 확대 등을 통해 2050 탄소 중립 로드맵을 성실히 이행하겠다”라고 전했다.
2024-07-01 10:0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