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관IT온라인부
seon@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LCK 로드쇼, 젠지 웃고 KT 울었다… 6주 차 '영혼의 꽃' 패치 변수
‘2025 LCK 로드쇼’의 주인공이었던 젠지와 kt 롤스터의 표정이 극명하게 갈렸다. 젠지는 승전고를 울린 반면 홈 팬들 앞에서 kt 롤스터는 아쉬움을 삼켰다. 한편, 다가오는 6주차에는 '영혼의 꽃' 테마의 신규 25.09 패치가 적용될 예정이어서 리그 판도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LCK는 지난 3일과 4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올해 첫 외부 공식 경기인 ‘LCK 로드쇼’를 진행했다. 3일 ‘젠지 홈스탠드’에서는 젠지가 디플러스 기아를 세트 스코어 2대0으로 완파하며 저력을 과시했다. 이로써 젠지는 디플러스 기아 상대 공식전 19연승이라는 대기록을 작성했으며, 정규 시즌 10연승 행진도 이어갔다. 미드 라이너 ‘쵸비’ 정지훈의 탈리야와 탑 라이너 ‘기인’ 김기인의 그웬, 원거리 딜러 ‘룰러’ 박재혁의 카이사가 승리를 견인했다. 반면 4일 ‘kt 롤스터 홈커밍’에서 T1을 맞이한 kt 롤스터는 1, 2세트 모두 후반 집중력 부족을 드러내며 세트 스코어 0대2로 패배했다. 특히 T1 정글러 ‘오너’ 문현준의 신 짜오를 효과적으로 공략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지난해 T1 홈그라운드에서 승리했던 좋은 기억을 수원에서 재현하려 했으나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양일간 진행된 LCK 로드쇼는 홈팀 팬들뿐 아니라 원정팀 팬들까지 운집하며 전석 매진을 기록, 뜨거운 열기를 실감케 했다. 젠지와 kt 롤스터는 다양한 팬 이벤트와 굿즈 판매 등으로 팬들에게 최상의 경험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LCK 정규 시즌 6주차부터는 아이오니아 테마를 담은 25.09 패치 버전이 적용되어 경기 양상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이번 ‘영혼의 꽃’ 패치에서는 협곡 내 주요 오브젝트 관련 변경점이 눈에 띈다. 기존보다 늦은 시간에 한 번만 등장하도록 공허 유충 소환 방식이 바뀌고 아타칸은 ‘고통의 아타칸’으로 통합되어 처치 효과도 달라진다. 특히 공허 유충의 경기 내 영향력이 줄어들면서 바텀 듀오를 공허 유충 타이밍에 맞춰 상단으로 이동시키던 전략의 활용도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자연스레 드래곤의 전략적 가치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각 팀의 바텀 라인전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강력한 바텀 라인전을 자랑하는 젠지, 한화생명e스포츠, BNK 피어엑스가 새로운 패치 환경에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8분까지의 골드 격차 지표에서 한화생명e스포츠의 ‘바이퍼’ 박도현, BNK 피어엑스의 ‘디아블’ 남대근, 젠지의 ‘룰러’ 박재혁이 나란히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강력한 라인전 실력을 입증했다. 오는 10일에는 젠지와 BNK 피어엑스의 경기가 예정되어 있어 ‘룰러’와 ‘디아블’ 간의 바텀 라인 대결에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5주차 ‘골드킹’의 영예는 BNK 피어엑스의 원거리 딜러 ‘디아블’ 남대근에게 돌아갔다. 남대근은 평균 1만6163.5 골드를 획득하며 한화생명e스포츠전과 DRX전에서 칼리스타와 카이사로 뛰어난 공격력을 선보였다. 우리은행은 매주 골드킹에게 순은 주화를, 연간 골드킹에게는 골드바를 시상하며 팬들은 우리은행 Won뱅킹 앱을 통해 ‘골드킹을 찾아라!’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2025 LCK 정규 시즌 경기는 유튜브 LCK 채널, SOOP, 네이버 이스포츠&게임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생중계되며 현장 관람 티켓은 경기 시작 48시간 전부터 인터파크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2025-05-07 15:33:00
-
-
KOICA-한국개발전략연구소-연세글로벌헬스센터, '네팔 보건 및 소득증대를 통한 통합적 농촌지역 역량강화사업' 성료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이사장 장원삼)은 (사)한국개발전략연구소(KDS, 이사장 전승훈)와 연세글로벌헬스센터(YGHC, 센터장 남은우) 컨소시움이 수행한 ‘네팔 보건 및 소득증대를 통한 통합적 농촌지역 역량강화사업(2020~2025, 총 사업비 470만 불)’의 종료보고회를 지난 4월 25일 네팔 카트만두 소재 Square 호텔에서 개최하였다. 행사에는 네팔 농업가축개발부(MoALD) 차관보 Maniratna Aryal 박사를 비롯한 정부 관계자, 주네팔한국대사관 및 KOICA 네팔 사무소, 현지 수행 파트너인 Dhulikhel Hospital, SAHAMATI, DfGN, 그리고 지역 수혜자 대표 등 약 150명이 참석하였다. 본 사업은 Tanahun군, Sindhupalchowk군, Kavrepalanchok군 내 4개 지역을 대상으로 농업 생산성 향상과 보건 위생 환경 개선을 통해 ‘네팔 농촌 주민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진행됐다. 특히 농업 생산성 증대 및 가치사슬 구축을 위한 인프라와 기술교육을 제공하였고, 비농업 인구를 위한 소규모 창업 및 직업훈련도 병행하였다. 사업지별 기후 조건을 고려한 주요 농작물을 선정하여 농민조직이 자립적으로 생산·판매할 수 있도록 산지집하장, 운송 차량, 시범농장 등의 필수 인프라와 기술교육을 지원하였다. 또한. 보건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해 둘리켈병원 지역지소(ORC, DH-Outreach Center) 2개소를 신축하고 의료 장비와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지원했다. 이에 더하여 지역 보건 인력 및 학생을 대상으로 보건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해 지역사회의 건강 증진을 도모했다. 주요 지원 활동을 주민 위원회의 주도로 추진한 본 사업은 조사 결과 농가 소득 증가 및 보건 인식 개선뿐 아니라, 지역사회 내 소속감, 책임감, 준법정신 등 사회적 자본 형성에도 기여하였다. 공무헌 KOICA 네팔 사무소장은 “농업과 보건 분야를 결합한 통합개발이라는 생소한 도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네팔 정부와 모든 파트너 기관의 협력에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수원국 대표인 둘리켈 병원의 Biraj Man Karmacharya 박사는 “코로나19 팬대믹으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도 긴밀한 협력으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며 감사의 말을 전했다. 윤해진 KDS 부원장은 “지역 정부와 주민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사업 성공의 핵심이었다”며, 이번 사업의 성과와 교훈이 향후 네팔 내 개발사업에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했다. 남은우 연세글로벌헬스센터장은 사업을 함께한 둘리켈병원 등 현지 기관과의 협력에 감사하며 앞으로도 네팔 보건 분야에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이어가겠다 약속하였다. 최형석 PM(Project Manager)은 “도전과 변화가 많았지만 모든 파트너의 노력 덕분에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2025-05-07 15:03:07
-
-
-
-
-
'사무실 책상 전화기 사라지나' KT, 팀즈(Teams) 연동 '팀즈폰' 공개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업무 협업 솔루션 팀즈(Teams)와 자사 통화망을 연동한 '마이크로소프트 팀즈폰(이하 팀즈폰)' 서비스를 7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MS 팀즈의 채팅, 음성·영상 통화, 온라인 회의 등 협업 기능에 KT의 안정적인 통화 품질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기업 사무용 통화 서비스는 사설교환기((PBX, Private Branch eXchange))나 데스크폰 등 별도 통신 장비와 전용 단말이 필요했다. 팀즈폰 도입 기업은 통신 인프라 구축 없이 사무용 전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관리·유지보수 부담을 최소화해 효율적인 IT 운영이 가능하다. 임직원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에서 팀즈 프로그램을 통해 전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앱을 통해 손쉽게 사무용 번호를 할당받아 개인 휴대전화번호 노출 없이 업무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일정 관리, 콘텐츠 생성, 회의 분석 등 AI 개인비서 기능과 클라우드 협업 등 팀즈의 다양한 업무 솔루션을 통합적으로 활용해 기업의 업무 혁신을 지원한다. KT는 팀즈폰이 국내외 지사를 둔 글로벌 기업, 외근이 잦거나 사내 번호를 모바일에서 사용하려는 기업, 협업 솔루션과 구내 전화를 동시에 도입하려는 기업 등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폰 이용을 원하는 기업은 KT 기업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명제훈 KT Enterprise부문 서비스Product본부장 상무는 “KT는 마이크로소프트 팀즈폰 서비스 출시를 통해 고객사 임직원들이 더 편리하고 스마트하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혁신적인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MS와의 협력은 KT가 AICT 기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기업 고객 대상 서비스를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2025-05-07 09:11:3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