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차이나 트렌드] 벌목기계 요란한 마을에서 생태관광지로...中 네이멍구 어얼구나시의 '변천사'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11.03 월요일
맑음 서울 13˚C
흐림 부산 15˚C
구름 대구 16˚C
맑음 인천 11˚C
맑음 광주 14˚C
맑음 대전 13˚C
흐림 울산 13˚C
흐림 강릉 11˚C
맑음 제주 13˚C
신화통신

[차이나 트렌드] 벌목기계 요란한 마을에서 생태관광지로...中 네이멍구 어얼구나시의 '변천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赵泽辉
2024-11-30 12:09:55

(중국 후허하오터=신화통신) 수년 전만 해도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어얼구나(額爾古納)시 쯔싱툰(自興屯)의 겨울은 벌목 기계 소리로 요란했다. 바쁘게 돌아가던 이곳 임장(林場∙삼림농장) 작업장은 이제 고즈넉하고 따뜻한 레저타운∙민박으로 탈바꿈했다.

네이멍구 후룬베이얼(呼倫貝爾)시에 위치한 어얼구나시는 209만㏊의 숲과 27만㏊의 천연 목초지를 보유하고 있다.

겨울 들어 왕젠(望見)∙린웨(林悅)쯔싱(自興)삼림캉양(康養∙건강한 노후를 위한 서비스)레저타운에서 독특한 빙설 엔터테인먼트를 체험하려는 여행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일 촬영한 왕젠(望見)∙린웨(林悅)쯔싱(自興)삼림캉양(康養∙건강한 노후를 위한 서비스)레저타운. (사진/신화통신)

어얼구나시에서 110㎞ 떨어진 왕젠∙린웨쯔싱삼림캉양레저타운은 삼림공업 문화, 생태 문화, 민속 문화를 융합한 고급 레저 타운이다. 지난해 착공돼 올여름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이곳에서 여행객들은 눈밭 화로에 둘러앉아 차 끓여 마시기, 오토바이 타고 오프로드 달리기, 말이 끄는 썰매 타기 등 빙설 엔터테인먼트를 체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벌목 작업장을 둘러보고 땔감 자르기 등 삼림구역의 전통 생산 방식을 체험하는 한편 각종 현지 요리를 맛볼 수 있다.

지난 2015년 네이멍구가 천연숲의 상업적 벌목을 전면 금지하면서 벌목공들이 점차 도시로 이주하고 벌목지의 주택들이 하나둘 비기 시작했다.

지난해 어얼구나시 썬위안(森源)임업경영회사는 29채의 벌목공 주택을 민박으로 개조했다. 현재 레저타운에는 B&B(Bed and Breakfast) 민박 67곳, 150명을 수용할 수 있고 룸을 갖춘 뷔페식당 2곳이 있다. 임장의 일부 직원은 삼림 보호 업무를 끝내고 남는 시간에 이곳에서 여행객을 대상으로 과거 벌목장 생활을 소개하는 부업에 종사하기도 한다.

5일 왕젠∙린웨쯔싱삼림캉양레저타운의 민박 내부. (사진/신화통신)

장자치(張佳琪) 왕젠∙린웨쯔싱삼림캉양레저타운 사장의 소개에 따르면 지금까지 이곳을 찾은 여행객은 3천여 명으로 총수입은 약 93만 위안(약 1억7천856만원)에 달했다.

최근 수년간 어얼구나시는 '생태 우선, 녹색 발전'을 추진하며 시 전체를 대상으로 천연림 보호, 방목 금지, 목초지-가축 균형 등 다수의 생태 보호 회복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덕분에 이곳은 '천연 산소바'라고도 불린다.

뛰어난 생태환경은 삼림캉양 관광 발전의 탄탄한 기초가 됐다. 어얼구나시는 우수한 생태 자원을 기반으로 삼림캉양, 삼림 체험 등 신업종을 적극 육성하며 임업 산업을 전통 벌목에서 생태 관광으로 전환시켰다. 그 결과 어얼구나시는 이미 중국의 국가급 전역 삼림캉양 시범건설도시, '국가급 풍경명승지' 등으로 선정됐다.

12일 '하얀 옷'으로 갈아입은 어얼구나 습지. (사진/신화통신)

올 1~9월 어얼구나시를 방문한 여행객은 354만5천700명(연인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21.59% 늘어난 규모다. 관광 수입은 17.65% 늘어난 80억 위안(1조5천360억원) 이상으로 집계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스마일게이트
카카오
삼성증권
DB손해보험
교촌
NH투자증
롯데캐슬
한국투자증권
씨티
하나금융그룹
KB국민은행
우리은행
삼성화재
신한투자증권
신한은행
한화
SC제일은행
포스코
db
신한금융지주
한화투자증권
삼성전자
NH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