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2 목요일
흐림
서울 25˚C
흐림
부산 25˚C
흐림
대구 23˚C
흐림
인천 25˚C
흐림
광주 25˚C
흐림
대전 25˚C
흐림
울산 24˚C
흐림
강릉 24˚C
흐림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GTS'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볼보 EX30 크로스컨트리, 강력한 성능으로 시장 공략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볼보코리아가 브랜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주행 퍼포먼스를 가진 EX30 크로스컨트리의 본격적인 시판에 나섰다. 18일 볼보코리아에 따르면 EX30CC는 브랜드 최초로 순수 전기 SUV에 볼보만의 독창적인 라인업인 ‘크로스컨트리’를 결합한 모델로 혹독한 겨울과 거친 지형에서도 탁월한 성능과 운전자가 기대하는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특히 사륜구동(AWD) 시스템과 강력한 성능의 트윈 모터를 결합해 제로백은 3.7초다. 이는 BMW i4 M60 xDrive와 포르쉐 타이칸 GTS 등과 동일하다. 올해 볼보코리아는 1월부터 8월까지 전기차 1070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178대) 대비 6배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2월 출시한 EX30의 약진이 주효했다. 회사 측은 남은 기간 EX30 1300대, EX30CC 200대 판매를 목표로 브랜드의 존재감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외관은 전후면 블랙 쉴드 디자인과 함께 전용 휠 등 견고하고 일체감 있는 인상을 선사하며 기존EX30 대비 19mm 높아진 지상고는 더욱 강력한 모습을 강조한다. 또한 운전자의 쾌적한 환경을 지원하는 △리프레시 모드 △휴식 모드 △주차 컴포트 모드 등 3가지 실내 환경 지원 모드가 추가됐다. EX30CC에는 사고 위험으로부터 운전자 보호 및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볼보의 최첨단 안전 기술인 안전 공간 기술이 적용됐으며 △운전자 경고 시스템 △문 열림 경보 △파일럿 어시스트 △사각지대 경보 및 조향 어시스트 △도로 이탈 방지 및 보호 △후방 교차 경고 △차세대 파크 파일럿 어시스트 등도 기본으로 제공한다. 여기에 퀄컴의 차세대 스냅드래곤 콕핏 플랫폼 기반의 커넥티비티는 차세대 사용자 경험, 볼보 UX를 통해 빠른 반응과 연결성을 지원한다. 티맵 오토와 AI 서비스 누구 오토, 티맵 스토어 등이 통합돼 있으며 네이버의 웨일 브라우저도 추가될 예정이다. EX30CC는 66kWh NCM 배터리와 두 개의 모터, 사륜구동(AWD) 시스템을 결합한 트윈 모터 퍼포먼스 단일 트림이다. 외장 컬러는 베이퍼 그레이, 클라우드 블루, 크리스탈 화이트, 오닉스 블랙으로 출시된다.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는 복합 기준 329km이며 급속(DC) 충전을 통해 10~80%까지 약 28 분 만에 충전할 수 있다. 국내 판매가격은 5516만원으로 글로벌 주요 국가 대비 최대 3800만원 가량 저렴한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책정됐다. 여기에 △5년 또는 10만km 일반 부품 보증 및 소모품 교환 서비스 △8년/16만km 고전압 배터리 보증 △15년 무선 업데이트(OTA) 지원 △디지털 서비스 패키지 5년 이용권 등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2025-09-18 14:35:04
욜로(YOLO) 시대 국가별 대표 스포츠카는?
[이코노믹데일리] ※김지영의 카(CAR)멜레온 코너는 다양한 몸의 색깔을 띠는 카멜레온처럼 차(車)와 관련해 독자들이 궁금해 할 만한 다양한 소식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자동차와 관련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세요! <편집자주> 최근 욜로족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YOLO(You Only Live Once)는 "한 번뿐인 인생,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자"라는 뜻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 즐기고 싶은 것을 타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이같은 사회 분위기가 만연한 가운데 자동차로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스포츠카의 수요 역시 점차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시장조사업체 비즈니스 리서치 인사이트의 '스포츠카 시장 규모, 점유율, 성장 및 산업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글로벌 스포츠카 시장 규모는 올해 654억 달러(약 91조원)로 평가될 것으로 예상하며 오는 2034년까지 950억 달러(약 132조원)로 예상했다. 이 가운데 각 국가를 대표하는 스포츠카도 다양하다. 영국을 대표하는 스포츠카는 로터스다. 2인승 스포츠카인 에미라는 4.4m 길이의 차체와 1.4톤(t)의 가벼운 무게를 바탕으로 운전 재미를 절정으로 끌어올렸다. 배기량과 과급기 방식을 두고 직렬 4기통 2.0ℓ 가솔린 터보, V6 3.5ℓ 가솔린 슈퍼차저 두 가지로 선보으며 에미라 2L는 최고출력 364마력, 최대토크 43.9㎏∙m의 성능을 갖추기도 했다. 에미라 V6는 최고출력 405마력, 최대토크 42.8㎏∙m며 최고속도는 시속 288㎞이다. 세련된 외관 디자인도 수요가 높은 주요 이유 중 하나다. 거대한 에어덕트, 낮고 넓은 차체가 시선을 끌며 스포티한 20인치 휠과 면적이 특징이다. 미국을 대표하는 스포츠카는 머스탱이다. 그중 GT는 미국 머슬카의 표본으로 최고출력 493마력과 최대토크 57㎏∙m를 발휘하고 듀얼 에어 인테이크 박스와 함께 세그먼트 최초로 듀얼 스로틀 보디 디자인을 적용했다. 긴 보닛과 적극적으로 새겨 넣은 굵직한 캐릭터라인은 스포티한 이미지를 부각했다. 또한 시그니처 3분할 LED 헤드램프는 1960년대 오리지널 머스탱에서 영감을 얻어 존재감을 극대화하기도 했다. 이탈리아 대표 스포츠카는 마세라티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다. 우아한 디자인과 전기차를 상징하는 전용 레터링, 밀폐력을 강화한 소프트톱이 특징이다. 실내는 질 좋은 가죽과 섬세한 스티치 조화이루기도 한다. 아울러 독일에는 포르쉐 911가 있다. 그 중에서도 신형 911 카레라 GTS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장착해 성능과 효율을 균형적으로 발휘한다. 외관은 세로 형태의 핀으로 표현한 전용 범퍼가 적용되며 디자인을 다듬은 4 포인트 그래픽이 인상적인 HD 매트릭스 LED 헤드라이트를 탑재하기도 했다.
2025-08-23 06:00:00
포르쉐코리아, 타이칸 GTS 국내 공식 출시
[이코노믹데일리] 포르쉐코리아가 22일 순수 전기 스포츠카 타이칸 GTS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 포르쉐코리아에 따르면 신형 타이칸 GTS는 런치 컨트롤과 함께 최대 515kW(700마력)의 오버부스트 출력을 발휘하며 정지 상태에서 100km/h(제로백)까지 3.3초 만에 가속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모델 대비 0.4초 더 빠른 수치다. 기본 사양으로 탑재된 스포츠 크로노 패키지에는 푸시 투 패스 기능이 포함돼 버튼 조작만으로 최대 70kW의 추가 출력을 10초간 더할 수 있다. GTS 전용 섀시와 리어 액슬 스티어링(선택 사양)을 비롯해 포르쉐 액티브 서스펜션 매니지먼트(PASM)가 포함된 어댑티브 에어 서스펜션과 포르쉐 토크 벡터링 플러스(PTV Plus)가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 외관 디자인은 블랙이나 앤트러사이트 그레이 컬러 디테일을 통해 GTS 모델 특유의 스포티한 감성을 드러낸다. 인테리어에 적용된 소재들은 타이칸 터보 GT 모델에서 차용했다. 스포티한 레이스-텍스와 부드러운 블랙 가죽이 확장 적용된 구성을 기본 사양으로 제공한다. 옵션 사양의 GTS 인테리어 패키지는 기존의 카민 레드에 더해 슬레이트 그레이 네오 컬러도 제공된다. 타이칸 GTS의 국내 판매 가격은 부가세 포함 1억7990만원이다.
2025-05-22 10:10:2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정자원 화재] 국토부, '하도급지킴이' 장애에 공사대금 지급 예외 허용 추진
2
새마을금고 알짜카드 'MG+S 하나카드' 다음달 신규 발급 종료
3
"근로자도 안전의무 위반 시 제재 필요"…건설안전특별법 논의 확산
4
국정자원 화재,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서 발화...화재 발생 원인 '촉각'
6
카톡 업데이트 총괄 홍민택 CPO, 사내 공지로 '진화' 나서
7
'행정부판 카카오 사태', 예산에 막힌 정부의 '절반짜리' 재난 대비
8
[국정자원 화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재개…66조원대금 지급 정상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국감에 설 예정인 건설사 CEO들, 책임 공방을 넘어설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