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
설 명절에 3484만명 '대이동', 작년 29%↑
설 연휴간 약 3500만명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설 명절을 맞아 1월 24일부터 2월 2일까지 10일간을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지정하고, 약 3484만명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설 연휴 기간의 2702만명에 비해 29% 증가한 수치이다. 설 당일인 1월 29일에는 최대 601만명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대책기간 동안 이동 수단으로는 승용차가 85.7%를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항공 이용 비율도 지난해 2.8%에서 3.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속도로의 일평균 통행량은 지난해 544만대에서 7.7% 감소한 502만대로 예측되며, 이는 명절 연휴에 따른 통행량 분산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귀성 출발은 설 전날인 1월 28일 오전이 가장 선호되며, 귀경 출발은 설 다음 날인 1월 30일 오후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국민의 20.2%는 여행을 계획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부는 이번 특별교통대책을 통해 원활한 교통소통을 유도하고, 귀성·귀경·여행객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마련했다. 고속도로 통행료는 설 전후 4일간 면제되며, 고속도로 휴게소와 졸음쉼터가 신설된다. 또한, KTX와 SRT의 역귀성 요금 할인 행사도 진행된다. 대중교통 수송력도 확대된다. 버스와 철도의 운행 횟수는 평시 대비 각각 12.3%와 9.0% 증가하며, 좌석 수 또한 늘어난다. 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 철도, 항공, 해운 등 교통시설에 대한 사전 안전점검이 실시되며, 특별안전점검도 진행된다.
2025-01-21 15:38:19
-
2025년 설 차례상 비용, 전통시장 30만원, 대형마트 40만원 돌파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몇 년간 설 차례상 비용이 매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설 명절 차례상 비용이 전통시장은 약 30만원, 대형마트는 약 40만원으로 나타나 또 한 번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가 설을 3주 앞두고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차례상 비용을 조사한 결과, 4인 가족 기준 차례상 비용이 전통시장은 30만2500원, 대형마트는 40만9510원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일부 가격이 소폭 하락한 품목도 있으나 과일류와 채소류의 가격 상승이 전체 차례상 비용 상승으로 이어졌다. 차례상 물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과일류와 매년 변동이 잦은 채소류는 각각 전년 대비 57.9%, 32.0% 상승하며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가장 큰 폭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과일류의 경우, 작년 가격 상승의 주범이었던 사과와 달리 올해는 배의 가격이 급등했다. 지난여름 폭염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로 생산량이 감소하고 상품성이 저하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사과, 배 등 명절 필수 과일 가격이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자, 다른 과일로 수요가 몰리면서 샤인머스캣이나 안감류 등의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 채소류는 최근 강력한 한파로 인해 가격이 높게 형성됐다. 특히 무와 배추는 작년 여름 생육 부진으로 생산량이 줄어든 데다 김장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조기 출하가 많이 이뤄진 상황에서 한파로 인한 공급량 부족까지 겹쳐 가격이 급등했다. 한국물가정보는 접근성과 편의성은 조금 부족하지만, 일부 공산품을 제외하면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가격도 저렴하고 품질도 좋아 전통시장에서 설 차례상을 준비하는 것이 알뜰 상차림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물가정보 이동훈 팀장은 "평년보다 빠른 설과 최근 한파 영향으로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어 있는 품목이 있다"며 "좋은 품질의 재료를 비교적 저렴하게 구매하려면, 저장 기간이 비교적 긴 품목은 미리 구매하고, 변동이 잦은 채소류와 같은 품목은 기후 변화에 맞춰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한 "발표 가격은 정부의 설 물가 안정 대책이 미반영된 가격이므로, 정부의 지원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현명한 소비 방법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고 설 민생 안정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내놨다. 16대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26만5000톤 공급하고, 오렌지 등 수입과일 10종 할당관세 물량을 신속 도입하기로 했다. 또한 역대 최대 900억원 규모의 정부 할인 지원과 유통업체 자체 할인을 연계해 주요 성수품을 최대 50% 할인 지원하기로 했다. 임시공휴일을 포함한 설 연휴 기간(1월 27일~30일) 동안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되고, 지자체와 공공기관 주차장 역시 무료 개방된다.
2025-01-12 15:2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