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04 일요일
맑음
서울 18˚C
맑음
부산 20˚C
맑음
대구 22˚C
맑음
인천 16˚C
맑음
광주 16˚C
흐림
대전 16˚C
흐림
울산 19˚C
맑음
강릉 17˚C
맑음
제주 1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급반등'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가상자산 시장 급반등… 비트코인 8만3000 달러 돌파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90일 유예 발표 직후 가상자산 시장이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은 8만 달러 선을 회복하며 강한 매수세를 나타냈고 주요 알트코인들도 동반 급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백악관 연설을 통해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가상자산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BTC)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8% 이상 급등하며 8만3000 달러를 넘어섰다. 미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기준 9일 오후 5시 44분경 비트코인은 8만3337달러에 거래됐으며 이는 지난 7일 이후 처음으로 8만 달러 선을 회복한 것이다. 거래량 역시 870억 달러를 상회하며 시장의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주요 알트코인들도 일제히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하며 강세를 보였다.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ETH)은 약 14% 급등하며 1670달러 선에서 거래됐고 엑스알피(XRP) 역시 15% 가까이 오르며 2달러 선을 되찾았다. 솔라나(SOL)와 도지코인(DOGE)도 각각 12~13%대의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번 가상자산 시장의 반등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일부 해소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물가 상승, 경기 침체 우려와 더불어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졌고 이는 가상자산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직전 고점 대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이번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가 발표되면서 단기적인 불확실성이 완화되자 투자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2025-04-10 08:05:02
웃지 못하는 K-증시…저점일까, 하락장일까
[이코노믹데일리] 올해를 일주일 남짓 남겨둔 가운데 국내 증시는 탄핵 국면에서 2400선에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는 향후 증시 전망에 현재 저점에 도달했다고 평가하는 반면 당분간 불안한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한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37.86p(1.57%) 증가한 2442.01에 거래를 마쳤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면서 불확실성이 해소됐음에도 코스피는 지난주 3.62% 급락했다. 직전 거래일인 20일 코스피는 2389.86까지 내려가며 2400선이 무너졌지만 이날 반등에 회복했다. 이날은 개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 6757억원 팔았다. 반면 외국인이 1450억원, 기관이 4351억원 사들이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외국인 투자자가 지난 20일 8185억원 매도한 영향에 당일 주가는 1.30% 떨어졌다. 코스닥은 전장보다 10.93p(1.64%) 오른 679.24에 마감했다. 코스닥에서는 개인이 2330억원 순매도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304억원, 1019억원 매수했다. 증권가에서는 최근 국내 증시가 바닥에 도달했다고 전망한다. 키움증권은 주간 코스피 예상 범위를 2370~2520선이라 예측했다. 지난주 급락 이후 낙폭 과대 인식이 재확산됐고, 미국 증시의 지난 금요일 급반등 효과, 미국 11월 내구재 주문 현황 발표(현지시간 24일), 국내 수출입 현황 발표 등으로 반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7월 이후 5개월 지속돼 온 코스피 부진은 이번 하락 추세에 마지막일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비중 확대 기회라면서 △중국 경기부양책 효과 △기획재정부 확대재정 발표에 따른 정책 부재 해소 △코스피 12개월 선행 주당순이익(EPS) 저점 통과 △연기금 기조적 비중 확대 가능성 등을 이유로 들었다. 조준기 SK증권 연구원은 "과거와 다르게 산타랠리를 기대하기에는 분위기가 좋지 않다"며 "다만 국내 증시 측면에서 금요일 장 종료 이후 나온 숫자와 재료들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해석할 만하기에 주초 반등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고 봤다. 반면 현재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반등을 모색할 지표와 모멘텀이 부재해 연말 랠리 기대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당분간 불안 심리가 이어지며 환율과 금리 흐름에 연동되는 장세는 불가피하다"고 관측했다. 이날 미국 원/달러 환율은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0.6원 오른 1452.0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주간거래 종가 기준 3일째 1450원을 넘었다.
2024-12-23 18:11:2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해킹 사태, 국가 통신망 '뇌관' 건드렸다… 재발 방지 시스템 전면 개혁해야
2
SKT '유심 해킹돼도 금융 탈취 불가...FDS·보호서비스로 차단'
3
SKT 유심 해킹 여파… 편의점 알뜰폰 유심 판매 불티
4
[유통가 사모펀드 쇼크] ③ 같은 전략, 엇갈린 운명…사모펀드의 빛과 그림자
5
SK에코플랜트, 반도체 생태계로 체질 전환…IPO 앞두고 사업 대수술
6
[단독] 코웨이, 1년 넘게 동명이인 렌탈 요금 합산 인출
7
현대엔지니어링, 43년 만에 사명 변경 추진…"신뢰 회복 위한 전면 쇄신"
8
성남지역 새마을금고, 1700억 부당대출 사고 발생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