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기사
-
넥슨 '마비노기 모바일', 사전 다운로드 시작…27일 0시 정식 출시
넥슨의 야심작 MMORPG ‘마비노기 모바일’이 정식 출시를 이틀 앞두고 25일 사전 다운로드와 캐릭터 생성 서비스를 시작하며 게임 팬들의 기대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정식 게임 서비스는 오는 27일 오전 0시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이날부터 이용자들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모바일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넥슨닷컴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PC 버전 설치가 가능하다. 게임 접속 후에는 26일 오전 11시 59분까지 데이안, 아이라, 던컨, 알리사, 메이븐, 라사, 칼릭스 등 총 7개의 서버 중 원하는 서버를 선택하여 캐릭터를 생성하고 닉네임을 선점할 수 있다. 캐릭터는 서버당 1개씩만 생성할 수 있다. 캐릭터 생성 과정에서는 전사, 궁수, 마법사, 힐러, 음유시인 등 ‘마비노기 모바일’의 핵심 클래스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선호하는 클래스와 성별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외형, 헤어스타일, 눈, 입, 얼굴형, 얼굴 장식 등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캐릭터를 만들 수 있다. 캐릭터 사전 생성은 모바일과 PC 버전 모두에서 지원된다. ‘마비노기 모바일’은 넥슨의 대표적인 IP(지식재산권)인 ‘마비노기’를 기반으로 개발된 신작 MMORPG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세로 모드와 함께 전투와 탐험에 몰입할 수 있는 가로 모드를 동시에 제공하여 이용자가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자유롭게 화면 모드를 전환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2025-03-25 16:27:33
-
-
-
LG전자, '글로벌 사우스' 성장 본격화…인도 시장 공략 가속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최고경영자(CEO)가 인도, 중동, 중남미 등 ‘글로벌 사우스’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성장 전략을 본격화한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25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제2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올해부터는 기존 성장전략에 ‘지역’이라는 전략 축을 더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유망 지역에서의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조 CEO는 “글로벌 사우스 중 인도는 특히 경제 안정성과 성장성 관점에서 독보적이라 생각한다”며 “내년부터 인당 국내총생산(GDP)이 3000달러대에 진입하는 등 구매력이 있는 중산층이 크게 늘어나 가전 보급률이 10~20% 급증하는 변곡점이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는 LG전자가 기업공개(IPO)에 나선 지역으로 최근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로부터 LG전자 인도 법인의 IPO 계획을 예비 승인 받았다. 조 CEO는 “LG전자는 인도에서 2년 연속 가장 일하고 싶은 회사로 꼽히는 등 브랜드 위상은 아주 높다”며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인도 국민 브랜드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LG전자는 급변하는 지경학적 환경에 대응해 미국, 중국 중심의 전략을 넘어 글로벌 사우스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시장 개척에 나선다. 이미 계획은 진행되고 있다. LG전자는 인도 시장에서 지난 28년간 쌓아둔 사업 기반을 바탕으로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주요 가전 제품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향후 현지 특화 라인업 강화와 연구개발(R&D) 인프라 확대를 통해 국민 브랜드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조 대표는 “기존 하드웨어 중심 사업을 넘어 B2B, 구독형 서비스, webOS 플랫폼 등 비-하드웨어 사업 부문이 지난해 매출 성장에 큰 기여를 했다”고 밝혔다. 오는 2030년까지 전체 사업의 질적 성장 영역 비중을 50%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냉난방공조(HVAC),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원전 관련 산업용 솔루션까지 포함한 신규 B2B 사업에도 집중할 방침이다. 사업본부별 전략도 명확히 제시됐다. HS사업본부는 프리미엄 가전 및 B2B 부품 확대, MS사업본부는 webOS 기반의 미디어 플랫폼 사업 확대, VS사업본부는 '소프트웨어 정의차량(SDV)' 전환에 집중한다. 신설된 ES사업본부는 산업용 HVAC 중심의 B2B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조 대표는 26일 ‘마이크로소프트 AI 서밋’ 참석을 위해 방한하는 사티아 나델라 MS CEO와 회동할 예정이다. 나델라 CEO의 방한은 2022년 11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미국발 관세 우려와 관련해 조 대표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 냉장고, 오븐 등을 생산할 수 있도록 부지 정비 작업이나 가건물을 올리는 작업을 이미 진행하고 있다”며 “멕시코에 관세가 부과되면 지체 없이 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주총은 열린 경영 방침에 따라 온라인 생중계 및 영어 동시통역이 제공됐으며 주요 경영진이 모두 참석해 주주들과의 직접 소통에 나섰다. 안건은 모두 원안대로 통과됐고 신규 사외이사로 강성춘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가 선임됐다.
2025-03-25 16:10:52
-
-
-
-
-
-
-
-